개신교, 초교파, 신약성경의 직분은 종교권력이 아니라 은사로 주어진 것이다
"그가 혹은 사도로, 혹은 선지자로, 혹은 복음 전하는 자로, 혹은 목자 (목사X) 와 교사로 주셨으니, 이는 성도를 온전케 하며 봉사의 일을 하게 하며 그리스도의 몸을 세우려 하심이라." (에베소서 4:11~12)
[1] 신약에서 양들 위에 군림하는 목사가 아닌, 양육하는 목사는 필요하지 않은가요?
[2] 신약에서 하나님의 종이란 목사가 아니라, 모든 믿는 자들이다.
[1] 8분. https://youtu.be/ZxKfi4rnj4A
[2] 10분. https://youtu.be/u0QfE7OqmFY
by 딕욕형제와의 교제2014년
[신앙칼럼] 각 한글 제목을 클릭하세요!!
------------------------------------------------------------------------------------------------------------
[생각하는 교회] 장로 직분이 왜 중요한가?
교회를 이끌고 교회의 문제들을 다룰 수 있는 영적으로 성숙한 사람이 있는가?
성경적 배경
1. 행 20:17~38
A. 장로는 감독(자)와 동의어로(17,18) 둘 다 목양의 책임을 지는 직분을 가리킨다(28).
B. 목사도 한 사람의 장로이며, 장로는 초대교회 당시 한 교회에 여러 명(복수 리더십)이 있었다(17).
2. 딤전 3:1~13
A. 장로가 집사와 구별되는 점은 ‘가르치기를 잘 해야 한다’는 점이다.
B. 장로의 조건은 한 가지만 제외하면 모든 그리스도인의 성숙의 덕목에 해당되는 것들인데, 예외는 오직 가르치기를 잘 해야 한다는 것이다.
3. 행 6:1~4
A. 집사의 직분은 테이블을 섬기는 것 즉 물리적, 재정적 필요를 섬기는 것이다.
B. 장로들은 실제적인 섬김을 할 집사들을 필요로 하고, 집사들은 영적으로 섬길 장로들을 필요로 한다.
복수 장로 리더십의 실제적 유익
1. 목회의 약점을 보완해 준다. 완벽한 목사는 없다. 장로는 그의 약점을 보완해 줄 수 있는 영적 지혜를 제공할 수 있다.
2. 회중의 비판을 분산시킨다. 목사의 동기와 결정이 오해받을 때, 장로들은 회중 속에서 그 비난을 불식하고 설명하고 이해시킬 수 있다.
3. 목회적 지혜가 풍부해진다. 경건한 지도자들의 그룹은 얼마나 많은 지혜를 모으고 실행할 수 있겠는가?
4. 지도력이 회중 속에 뿌리를 내린다. 목사는 바뀔 수 있어도 장로 리더십은 계속 될 것이다. 사례를 받는 목사의 수보다 장로의 수가 더 많은 것이 바람직하다.
5. 교정적(corrective) 권징을 가능하게 해준다. 이런 권징은 복수 장로 리더십이 없이는 시행하기가 어렵다.
6. ‘회중 대 목사’의 대립을 분산시킨다.
교회의 방향이나 정책, 어떤 결정에서 목사와 회중이 불일치하게 될 때, 목사는 심한 고립을 당하게 된다. 건강하지 않은 ‘우리 대 목사’의 대립이 일어난다. 복수 리더십은 이 대립을 최소한 ‘우리 대 그들’로 가져 가면서 목사의 고립을 경감시켜 주고, 목사에게 지혜로운 대처를 하게 함으로써 문제를 풀도록 도울 수 있다.
펌출처: https://is.gd/XLciuq
영국에서 전파된 형제교회가 복수의 장로를 잘 실천하는 교회입니다. 개신교는 가톨릭주의가 혼합되어 있습니다. 이를 개혁해야 합니다. 끝까지, 참여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유익한 기독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Q&A] 삼위일체는 누구의 가르침인가?(교회의 가르침이다) (0) | 2018.09.10 |
---|---|
[개신교] 동성애 방지법 vs 동성애 차별금지법 (0) | 2018.09.06 |
[모범사례] 장로교단 총회,가톨릭 이교 지정 요구(2017년) (0) | 2018.08.21 |
[삼위일체X] 육체로 오신 유일신 창조자 예수 하나님 (0) | 2018.08.21 |
[독립교회] God is never two or three(여호와=예수) (0) | 2018.08.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