십일조에 관한 글 / 신완식 목사


1. 목사는 레위 족속이 아니고 제사장도 아닙니다.
일차적으로 십일조는 율법시대에 주어진 것인데 지금은 율법이 완성된 복음의 시대요 은혜의 시대입니다. 그런데 왜 십일조만 시행하고 할례는 시행하지 않나요? 여성들은 예배 시간에 왜 머리에 두건을 쓰지 않나요?

2. 교회는 성전이 아니고, 예배는 제사가 아니며, 헌금은 제물이 아닙니다.
요즘도 번제와 소제와 화목제 등을 하고 있나요?

3. 아브라함이 드린 것은 자신이 거둔 땅의 소산인 농작물이나
소유한 가축에서 드린 것이 아니고 전리품입니다.
구약시대 성도들이 드린 것은 결코 전리품이 아닙니다. 십일조는 반드시 개인의 소유에서 나온 소득에 근거했습니다. 그리고 그가 멜기세덱에게 드린 것은 오직 유일회적인 일이요, 정기적으로 행한 구약시대의 십일조와는 그 성격이 근본적으로 다릅니다.

4. 야곱의 서원은 십일조를 드리기 전에 한 것이고 반드시 ‘If~’로 시작됩니다.
그리고 지적하신 대로 그가 실지로 했다는 증거가 없습니다. 물론 그 시대에는 성전도 제사장도 율법도 생기기 전이고요.

5. 구약시대에 드린 십일조 품목에 ‘돈’은 절대로 없었습니다.
지금은 돈만 받지요^^?

6. 구약시대에도 십일조 의무를 면제 받은 직업들이 있습니다.
수확을 위한 바구니를 만든 상인들, 들판에서 일하는 종들이 신는 신발을 만든 사람들, 추수 수확을 위해 마차를 만든 목수들, 들판에서 일하는 종들이 물을 길어 나르도록 물통을 만든 도자기 공들, 들판에서 일하는 이들을 위해 외투를 만든 여인들, 임금을 받고 들에서 일한 종들이 바로 그들입니다.

예수님은 목수였기 때문에 십일조 뿐 아니라 성전세도 내지 않으셨습니다.

7. 헌금은 반드시 자발적이어야 합니다 (마 10:8하, 마 5:42, 롬 15:26-27, 눅 6:38 등)
즉 마음으로 드리는 것이어야 합니다.

8. 바울, 베드로, 야고보, 요한, 유다가 쓴 성경에 십일조에 대한 언급이 전무 합니다.
즉 초대교회는 이미 십일조 하지 않았다는 증거이지요.

그러면 어떻게 해야 하는가요? 유럽 교회들을 주의 깊게 살펴 보아야 합니다. 제가 다니는 영국 교회도 공식적으로 십일조는 언급조차 않고 있어요. 물론, 아프리카나 스리랑카 인도 등에서 온 이들 중에 하는 분들이 있긴 하지만 그들도 사실은 위의 내용들을 잘 모르고 있지요.
유럽 교회들은 아무리 믿음이 좋아도 십일조를 중심으로 헌금 생활을 하지 않습니다.

교회 인건비, 유지비, 구제비 등 실질적인 재정관련 사항들은 ‘십일조’를 강조함으로 해결할 게 아니라 목사들이 구체적인 재정 필요 사항들을 장로-집사들에게 알려서 그분들이 기쁜 마음으로 동참할 수 있게 해야 하는데, 한국 교회처럼 그렇게 강조하니 심각한 부작용이 생기는 것이지요.


희 교회는 십일조 강조 하나도 안하고 저도 지금 십일조 안 해도 할 일 다하는 교회랍니다.
구제와 선교를 위해 적극적으로 헌금을 하기 때문에 제 기억으로 지난 5년 동안 꼭 한 차례 그것도 스쳐 지나가는 말로 헌금에 대한 언급을 했습니다.

질문자께서 참조하신 성경주석을 쓴 이는 위의 기본적인 사실을 모른 채 의례적 논리를 따라 쓴 것 같습니다.

한국도 머지 않아 십일조 문제를 극복해야 할 때가 올 것입니다. 언제까지나 지금처럼 하지는 않을 것이기 때문이지요. 영국 교회도 100여년 전까지는 했으나 지금은 안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구태의연하게 대처할 것이 아니라, 실질적으로 접근해야 합니다. 한국 교회들은 유럽 교회가 죽었다고 하는데 그런 측면도 있겠으나 영국은 ‘병든 한국 교회’와는 전혀 다른 측면에서 살아있는 교회랍니다.

십일조는 무조건 소득의 십 분의 일을 내는 것이 아니랍니다. 구약 시대에서는 반드시 소출과 가축에서 드렸고 직업에 따라서 면제되는 것도 많았습니다. 어부와 목수가 그 대표적인 예지요. 그래서, 예수님도 베드로도 십일조를 하신 적이 없으십니다.

십일조는 예루살렘 성전이 있고 제사장이 있으며 성전 제사가 있을 때 유효했던 제도로서
초대교회 때는 시행하지 않다가 중세에 들어 교회가 제도화 되면서 다시 시행된 제도입니다.

영국과 서구 교회는 더 이상 십일조에 대한 의무를 지지 않습니다.
이는 믿음의 부족 문제가 아니라 성서적인 근거 문제 때문입니다. 대신 그들은 십일조의 근본 취지인 극빈자, 장애인, 노인, 어린이, 여성 그리고 사회보장 및 복지에 대해 깊은 관심과 투자를 아끼지 않고 있습니다.

이제는 한국 교회와 직분자들도 맹목적으로 십일조를 이야기 할 것이 아니라 그 근본 취지와 뜻을 밝히 알아야 할 것입니다.
십일조 한다고 복이 굴러 온다거나, 하지 않으면 저주받는 다거나 하는 이야기는 감언이설에 불과 합니다.

왜 한국 교회 목회자들은 십일조와 헌금에 대해서는 그토록 용감할까요.
아무리, 가난하게 자라고 없이 살아와서 돈에 한이 맺혔다고 해도 성서를 정직하게 읽고 해석하여 교회 회중 앞에서 바르게 전해야지, 그처럼 혹세무민하니 참 답답하네요. 차라리, 사업을하면 돈을 원없이 벌 수도 있을텐데, 왜 하필이면 목회를 돈벌이의 수단 쯤으로 여기려 드는지, 정말 팔짝 뛰고 뒤로 나자빠질 심정입니다. (이하생략)

 

 

[펌게시자 사견]


신약시대에서는 제물의 성격을 가진 세가지 십일조를 지킬 수도 없고, 그것을 지켜서도 안됩니다.

 

그러므로, 신약교회에서 모든 소득의 현금 십일조는 그리스도 예수께서 원하시는 것이 아닙니다.

 

것은 사도들과 장로-집사-목사들에게 요구하신 것이 아니기 때문이지요. 예배시에 제물을 요구하

 

시지 않았다는 것을 반드시 알아야 합니다. 참고로, 천주교에서는 매월 교무금으로 교인들 본인 각

 

자 또는 가족들간에 상의하여 결정한 다음, 매월 1/10 미만~1/30(30일의 하루) 범위로 자신들이 자원

 

해서 냅니다.


신약성경을 근거로 기독교 개교회 그리스도인들에게 권면하고 싶은 것은, 그리스도인 본인이 스스

 

로 결정하는 월정 연보(자원하는 기부금)가 가장 성경적이라고 봅니다. 이것들을 모아 구제 용도로

 

사용하면 무난할 것입니다. 고아-과부-나그네-교회 사역자의 생활및 교회 운영을 지원하는 구제 용

 

도로 바르게 사용하면 될 것입니다. 개신교가 비성경적인 십일조로 길들여졌지만, 이제부터라도 본

 

인들이 월정 연보를 결정하여 교회에 기부하는 마음으로 십시일반 내면 될 것입니다. 자유하시기 바

 

랍니다.


 

[최석봉 목사] 여러 헌금은 없고, 자원해서 미리 저축하여 연보를 내는 것이 성경적이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