펌출처(펌글 & 책자 이미지)
: http://www.yes24.com/24/goods/8206787
[책 소개]
모든 신자들이 의무적으로 행하고 있는 십일조의 근거는 무엇이며, 어디에서 나온 것인가? 이에 대한 성경적 답변을 자세히 기록하였다. 저자는 십일조에 대한 성경구절을 하나씩 짚어 가며 쉽고 명쾌한 설명을 담고자 하였다. 친절한 설명을 차근차근 따라가다 보면, 오늘날 통념으로 받아 들여지는 모든 소득의 십일조가 성도들의 의무로 주장할 수 없으며, 성경적 근거 또한 찾기 어렵다는 사실을 발견할 수 있다. 십일조에 대한 내용 외에도, 성경 말씀을 통해 율법과 복음을 쉽게 이해할 수 있으며 새로운 시각에서 주 예수 그리스도를 바라보는 계기가 될 것이다.
[저자 소개]
김동진: 성균관대학교 철학과, 법학과를 졸업하고 법원행정고등고시를 거쳐 법원에서 일하고 있으며 한국교회개혁포럼(구. 숭사리)에서 활동하고 있다.
[출판사 리뷰]
모든 소득의 십일조 의무를 주장하는 원고의 소장에 대한 피고의 성경적 답변서
십일조가 성경 어디에 적혀 있는가?
십일조가 성경적 근거가 있는가?
예수님께서도 십일조를 인정하시고 행하도록 말씀하셨는가?
오늘날 주장되는 통념적인 모든 소득의 십일조는 어디에서 나온 것인가?
모든 신자는 십일조를 반드시 해야 하는가?
저자는 과거 베뢰아 교회 성도들처럼 ‘이것이 그러한가?’ (행17:11) 십일조에 대한 성경구절을 하나하나 짚어가며 오늘날 모든 소득의 십일조가 과연 성경적 근거가 있는지 추적해 나간다. 이 책에서 새겨낸 성경말씀과 저자의 쉽고 명쾌한 설명을 따라가다보면 성경에 등장하는 십일조 말씀이 자연스럽게 소화되면서 오늘날 통념적인 모든 소득의 십일조가 성경적 근거를 찾기 어려우며, 성도들의 의무로 주장될 수 없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말씀을 통해 율법과 복음에 대한 쉽고 명징한 이해를 얻음과 더불어 성도를 피로 사신 주 예수 그리스도를 바라볼 수 있을 것이다.
이 땅의 십일조, ‘이것이 그러한가?’
십일조는,
하나님의 것으로,
자신의 모든 것이 하나님의 것이라는 고백,
해도 되고 안해도 되는 것이 아니라 성도가 반드시 감사함으로 드려야할 의무,
물질헌신의 최소한의 기준,
밥을 굶어도 먼저 해야 하는 것,
하나님의 영광과 존귀를 인정하는 것,
제2의 복음, 축복의 통로…….
자신도 20년간 교회에서 십일조 생활을 했다는 저자는 이 땅에서 회자되는 십일조에 대한 수많은 주장과 이야기들에 대해 과거 베뢰아 교회 성도들처럼 ‘이것이 그러한가?’ (행 17:11) 직접 성경을 열어 살펴본다. 창세기 아브라함의 십일조에서 히브리서의 십일조까지 성경에 등장하는 십일조 말씀들을 하나하나 문맥과 역사를 통해 읽어나가면서 이 땅의 수많은 교회들과 목회자들이 주장하는 통념적인 모든 소득의 십일조가 과연 성경적 근거가 있는 것인지 추적해 나간다.
이 책에서 새겨낸 성경말씀을 그대로 믿고 저자의 쉽고 명쾌한 설명을 따라가다보면 성경에 등장하는 십일조 말씀이 온전히 소화되면서 통념적인 모든 소득의 십일조가 성경적 근거를 찾을 수 없다는 사실을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말씀을 통해 율법과 복음에 대한 명징한 이해를 얻음과 동시에 그 길의 끝에서 왕 되시고, 구원자 되시고, 어린양 되시고, 대제사장 되시고, 생명의 양식 되시고, 성도를 피로 사신 주 예수 그리스도를 바라보게 될 것이다.
그리스도를 바라보는 성도는 모든 소득의 십일조가 오늘날 모든 성도가 행하여야 하는 헌신의 기준이 될 수 없음을 알게 될 것이며 자신의 마음에 예수 그리스도의 피가 뿌려져 다른 사람을 사랑할 수 있게 되었고 바울 서신의 ‘연보’와 같이 물질로 형제와 이웃을 자원함으로 기쁘게 섬길 수 있게 되었음을 알게 될 것이다.
저자는 통념적인 모든 소득의 십일조가 이 땅에서 어떠한 이유로 등장하게 되었는지 살펴본 후 객관적인 자료를 통해 십일조가 교회수입의 절반이상을 차지하는 사실과 교회에서 돈이 필요한 두 가지 큰 이유가 전문 목회자와 교회건물이라는 점을 밝히면서 십일조 개혁과 아울러 교회개혁을 위한 대안을 제시한다. 그것은 가깝게는 다른 직업을 가질 수 없는 목회자에 대한 고정관념과 예배당 건물에 대한 집착을 버리는 것이다. 그러나, 보다 근본적인 대안은 단순한 예배의식 공동체로 변질된 교회가 복음의 회복을 통해 초대교회가 은혜로 누렸던 가족공동체의 모습으로 돌아가는 것이다.
판매요청하기이동
![](http://i1.daumcdn.net/deco/contents/emoticon/things_14.gif?v=2)
'유익한 기독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장로,집사,목사 필독서] '설교 우상화'와 개신교의 변질(2016년) (0) | 2018.02.24 |
---|---|
초대교회의 유일신 사상 VS 로마(바벨론)의 다신 사상 (0) | 2018.02.23 |
[펌] 십일조로 착취하는 목회자 도적들(대안:각자 연보) (0) | 2018.02.18 |
이단의 분별 근거 & 이교도의 삼위일체 영상 (0) | 2018.02.15 |
[WLC Korean Videos] 방언으로 말하는 것이 성경적인가? (0) | 2018.02.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