십일조 헌금은 과연 성경적인가?
글 쓴 이 : 장로 고태영
* 본 내용은 핸드폰으로 보기에는 장문(長文)이므로 요약을 먼저 실었습니다.
모든 내용을 보실 분은 요약을 보고 이어서 보시기 바랍니다.
00- 요약 --00
1. 십일조는 아브라함이 멜기세덱에게 드린 것이 최초
아브라함이 BC 2115년 경 북방왕국과의 단 전투에서 롯(Lot)과 재물들을 구출하여 오는 중에 살렘왕 멜기세덱이 떡과 포도주를 가지고 그를 맞이하며 아브라함을 축복하는데 이때 아브라함은 노획한 재물의 십분의 일을 하나님의 제사장인 멜기세덱에게 드렸다. 이것이 십일조의 최초 기록이다.
2. 하나님께서 이스라엘 지파들에게 십일조를 명하심
아브라함과 야곱은 스스로의 판단에 따라 십일조를 드린 반면, 이제 하나님께서 명령하신다. 하나님께서는 레위 지파로 하여금 세상의 어떠한 일들도 하지 말고 오직 성막에서 제사장 직무만을 감당하게 하셨는데 그들의 생계를 위하여 이스라엘 백성들로 하여금 소산의 십의 일에 속한 것들을 레위지파에게 드리게 하였다.
3. 예수님께서 말씀하신 십일조
예수님께서 예루살렘 성전에서 바리새인들의 외식하는 믿음을 질책하시면서 십일조를 인용하여 말씀하신다.
마태복음 23:24
화 있을진저, 외식하는 서기관들과 바리새인들이여! 너희가 박하와 회향과 근채의 십일조(a tenth)는 드리되, 율법의 더 중한 바 정의와 긍휼과 믿음은 버렸도다. 그러나, 이것도 행하고 저것도 버리지 말아야 할지니라.
예수님께서 율법의 십일조도 행하고 또한 율법의 목적인 "공의와 자비와 믿음"도 같이 행하라고 말씀하신다. 외식하는 서기관과 바리새인들이 율법을 형식적으로 지키는 것을 책망하시며 이 말씀을 하신 것이다. 이 말씀을 예수님께서 부활 승천하시어 제사가 없어지고 은혜시대에 사는 우리에게, 소득의 십일조를 계속 해야 한다는 말씀으로 인용하거나 확대해석 해서는 안된다. 예로, 예수님께서 문둥병자를 고치시고는 그 시대의 율법에 따라 행하게 하는 말씀이 나온다.
마태복음 8장
3 예수께서 손을 내밀어 저에게 대시며 가라사대, 내가 원하노니 깨끗함을 받으라 하신대 즉시 그의 문둥병이 깨끗하여진지라
4 예수께서 이르시되, 삼가 아무에게도 이르지 말고 다만 가서 제사장에게 네 몸을 보이고 모세의 명한 예물을 드려(offer the sacrifice that Moses ordered) 저희에게 증거하라 하시니라.
기도로 치유받은 자가 제사장에게 보이고 예물 드림이 지금 시대에는 불필요 하듯이 예수님께서 그 시대사람들을 질책하며 하신 말씀을 이 시대에도 모두 적용해야 한다고 생각하면 안된다
4. 예수님 부활 승천 후의 십일조는?
신약 시대는 레위 직분이 폐지되고 제물이 필요 없는 시대로 바뀌었다! 예수님께서 단 한번에 자신을 드림으로서 십자가 보혈을 믿는 모든 사람의 죄는 깨끗하게 되는 것이므로 예전처럼 짐승을 제물로 잡아 레위 제사장이 제사를 드릴 필요가 없어졌다. 이제 예수님을 믿는 우리는 택하신 족속이요, 왕같은 제사장들이요, 거룩한 나라가 된 것이다.(베드로전서 2:9)
그런 이유로, 신약 성경에서 바리새인 꾸짖을 때 예수님 말씀 이외에는 십일조에 대한 이야기가 더 이상 나오지 않는다.
율법시대에 있었던 십일조는 더 이상 존속 의미가 없어진 것이다! 예수님께서 태어난 지 8일 만에 율법에 따라 할례를 받으셨지만, 은혜시대에 사는 우리에게 할례가 필요 없는 것처럼~!
십일조를 대신하여 새로운 단어가 성경에 나오는데, 연보(모금, collection, contribution)라는 단어이다. 사도 바울의 가르침에 의하면, 연보는 이미 정해진 량을 억지로 하는 것이 아니라, 마음에 정한 대로 하는 것이요, 하나님은 즐겨 내는 자를 사랑하신다 (고후 9:7)고 했다.
오늘의 헌금은 연보의 개념으로 '성도 각자의 마음에 정한 대로' 하는 것이다. 이것이야 말로 복음시대에 어울리는 은혜로운 헌금제도이다!
5, 천주교에서도 십일조 제도를 폐지했는데 왜 개신교 일부에서는 존재
하는가!
1079년 신부에게 자식의 세습을 근원적으로 막기 위해 독신 제도를 도입하고, 그후 개신교의 종교개혁시대에 이르러 십일조 제도를 아예 폐지한다. 과거 종교 개혁의 대상이던 천주교에서 이렇게 성경으로 돌아가, 올바른 헌금제도를 시행하고 있는데, 기독교계(개신교)에서는 오직 성경(Only Bible)만을 강조하면서도 왜 십일조 제도는 그대로 시행하고 있는지 하나님의 자녀의 한 사람으로서 정말 안타깝다. 왜? 초대교회의 사도들이 가르쳐 준 헌금 방법을 따르지 않는가!
6. 사도 바울이 권하는 헌금(연보)의 자세
1) 힘대로 할 뿐 아니라 힘에 지나도록
2) 자원(自願)하여
3) 자신을 먼저 주께 드리는 마음으로.
* 계속 정독하세요: http://cafe.daum.net/abj3927/OdTQ/32
'유익한 기독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다른 복음에 해당되는 십일조는 하루 속히 폐지되어야 한다(대안:각자 연보) (1) | 2016.10.13 |
---|---|
[Admin 목사] 식사기도를 멈추라 (0) | 2016.10.01 |
천국은 확실히 있다의 저자-토마스주남은 거짓선지자 입니다 (0) | 2016.08.01 |
[정성필 목사] 신구약 66권에서,돈으로 내는 십일조는 없다 (0) | 2016.07.12 |
[SOSTV 전도자] 일요일-안식일 문제에 대한 로마 카톨릭의 자체 증언 (0) | 2016.06.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