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신교, 초교파, 바울의 초대 그리스도교 가정교회는 사도신경. 삼위일체송. 유아세례. 물뿌리는 세례가 없었다, 천국지옥
삼위일체송(X)
사도신경(X)
이미지 출처: 늘사랑교회(기독교 한국침례회)
[Q&A-1]
예배시간에, 사도신경을 하지 않는 이유가 있나요?
침례교회는 사도 신경의 모든 신조적 고백이 이미 성경 안에 충분히 표기되었기에 '성경을 믿는다'는 고백으로 충분하지, 이 내용을 반드시 예배시간의 한 순서로 넣어 고백할 필요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오늘날, 전 세계적으로 예배 순서는 다양한 변화를 보이고 있습니다. 예배는 중요한 것이지만, 예배 순서는 결코 이렇게 가져야 한다고 성경에 가르쳐진 일이 없습니다. 사도신경은 하나의 신조(creed) 인데, 성경에 이미 존재하는 신조를 성경 밖으로 끄집어 내어 신조화 하다 보면, 어느 날 우리는 비성경적인 내용까지도 신조화할 가능성도 있다(이미, 어떤 교단에서는 그런 징조를 보이고 있음)고 보아, 침례교회는 철저하게 오직 한 책인 성경 그 자체만을 더 소중히 여기자는 전통을 지켜왔고, 그래서 역사적으로 침례교인들은 '한 책의 사람들(people of the Book)' 이라고 불리워졌습니다.
펌게시자 주기: 위 주보를 보시면, 삼위일체송이 아닌 복음송을 송영으로 부릅니다.
[Q&A-2]
침례교회는 유아세례를 주지 않는다고 하는데, 이유가 무엇인가요?
신약성경에는 단 한 번도 유아세례의 구체적인 실례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유아세례를 주장하는 분들은 사도행전에 '온 집(가족)이 세례를 받았다' 라는 대목을 통해서 유아도 세례를 받지 않았을까?를 추측할 따름입니다. 신약성경에는 거의 예외없이 '믿고' 라는 단어 다음에, '세례를 받고' 라는 표현이 등장합니다. (마가복음 16:16, 사도행전 8:12, 사도행전 18:8) 그러므로, 침례교회에서는 아직 신앙고백을 할 수 있을 만큼의 인지적 성장이 없는 유아에게 세례를 타의적으로 베풀기 보다는, 부모가 아이들을 신앙적으로 양육하여 스스로의 믿음을 고백하도록 키우겠다는 헌신을 더 소중히 여겨, 부모가 아이를 하나님께 드리는 '헌아식 (baby dedication)'을 거행하고 있습니다. 이런 헌아의 정신은 한나와 그 남편이 그들의 어린 자녀 사무엘을 드릴 때(사무엘상 1:27~28)나 아기 예수님의 정결예식(누가복음 2:22~23)에 잘 나타나 있습니다.
[Q&A-3]
설교나 성경봉독시에, 세례를 침례라고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침례의 성경 원어는 '밥티스마(baptisma)' 입니다. 동사로는 '밥티조(baptizo)' 입니다. 이 단어를 직역하면 '물속에 잠긴다' 라는 뜻을 가진 '침례' 입니다. '물을 뿌린다' 라는 단어는 희랍어로 '란티조(rantizo)' 라는 별도의 단어가 존재합니다. 침례교단은 본래의 단어 그 의미 그대로 '침례' 라고 읽고자 하는 것입니다. 일본 교회에서는 교파적으로 이 단어가 여러 의미로 번역되는 것을 예방하고자 이 단어를 음역하여 침례나 세례라고 하지 않고, '밥티스마' 라고 표기하였습니다. 더 중요한 것은 이 단어의 의미인데..대표적으로, 로마서 6:3~5 에서와 같이 침례란? 예수를 믿는 자가 예수와 함께 죽음과 장사 지내심과 부활에 연합된 것을 상징하여, 내가 예수와 함께 죽고 예수와 함께 다시 산 것을 고백하는 것인데, 우리는 물속에 들어갔다(죽음) 나오는(부활) 침례가 바로 그런 고백을 가장 적절하게 나타낸다고 믿고 있습니다. 초기에, 한글 성경을 번역하여 출간할 때, 침례교를 대표하는 분이 없었기 때문에 세례라고 번역된 것입니다. 후일에, 성서공회에서는 침례의 의미로 이 단어를 읽고자 하는 분들의 견해를 수용하여 요단과 같은 침례교 출판사가 침례로 표기하도록 하였습니다. 침례교회에도 대부분의 오순절 교회, 그리스도의 교회 등.. 지구상의 더 많은 개신교 교파 교회에서는 침례를 실시하고 있습니다.
[Q&A-4]
이전에 세례를 받았는데, 다시 침례를 받아야 하나요?
그렇지 않습니다. 우리는 침례가 보다 성경적인 신앙고백이라고 믿지만, 예수를 구주로 믿고 세례를 받은 사람들의 고백적인 진정성을 존중하여 교회의 회원이 되는 일에 이 문제로 어떤 차별도 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어떤 성도가 성경을 연구하면서 세례라는 형식이 자신의 신앙고백의 내용을 충분히 반영하지 않았다고 인지하여, 예수와 함께 죽고 예수와 함께 다시 산 자신의 '새로 남(new birth)'의 체험을 침례로 고백하겠다고 하면, 두 번째로 받는다는 의미가 아닌 '불완전한(incomplete, 물을 뿌리는 것으로 내가 죽고 다시 산 것을 충분히 나타낼 수 없었다는 의미에서)' 신앙고백을 '온전하게(complete)' 하겠다는 순종의 의미로 수용하여 침례를 베풀기도 합니다. 그러나, 우리 교회 어떤 회원들에게도 침례를 강요하지 않습니다. 다만, 우리 교회 영구 제직 이상의 지도자로 섬기는 분들에게는 공동체 지도력의 일체감을 갖고 리더십의 모범을 보인다는 뜻에서 침례에 순종할 것을 권고하고 있습니다.
--------------------------------------------------------------------------------------------------------------
개신교와 독립교회는 개교회별로 예배에 반영하실 것을 부탁드립니다. 교회 전통 보다는 성경 말씀의 근본으로 돌아가야 합니다. 끝까지, 1독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유익한 기독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교회] 하나님은 홀로 한분이십니다.두분,세분이 절대 아닙니다(삼위일체X,양태론X,삼신론X) (0) | 2019.08.15 |
---|---|
[한국교회] 사도신경,주기도문 안하면 이단인가?(답변:이단 아니다) (0) | 2019.08.12 |
[한국교회] 삼위일체를 어떻게 이해하면 좋을까요?의 반론 메시지 (0) | 2019.08.10 |
[한국교회] 더러운 돈 악덕 기업주 록펠러(1839~1937)! 그는 과연 성경적 십일조 영웅인가? (0) | 2019.08.07 |
[한국교회] '주의 종'에게 어딜 감히 (0) | 2019.07.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