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분 동영상이 안보일 때

: https://youtu.be/CG7Ma_mHVqE

by TheCBSCROSS


[앵커 멘트]

충현교회 김창인 원로목사의 세습 회개 사건이 큰 파장을 일으키면서 대형교회 세습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대형교회이면서도 목회자 자녀에게 교회를 물려주지 않은 사례도 적지 않은데요.

이번에는 건강한 리더십 교체 사례를 살펴보겠습니다. 조혜진기잡니다.

자녀에게 편안한 목회의 길을 제공해 주고 싶은 부모의 마음이 빚은 대형교회 세습. 하지만, 이를 단호하게 거부한 사례도 적지 않습니다.

출석 성도 7천명 규모의 부산 호산나교회 최홍준 목사 사위가 목사였지만 후임 목회자로 세우지 않았습니다.

게다가 일반적 은퇴 시점인 70세보다 훨씬 이른 65세에 담임목사직을 내려놓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습니다.

2만명이 출석하는 부산에서 가장 큰 수영로교회. 지난해 말 은퇴한 정필도 목사도 아들은 물론 사위까지도 목사였지만 교회를 물려주지 않았습니다.

충남의 홍성성결교회. 지금은 고인이 된 송헌빈 원로목사에게는 목사 아들이 4명이나 있었고,
교인들도 원로목사의 아들 가운데 한명을 청빙하기 원했지만 원로목사가 단호히 거부했습니다.

성도 1천명이 넘는 서울 강남의 화평교회 안만수 원로목사와 7천여명 규모의 서울 성수동 성락성결교회 박태희 목사 역시 아들이 목사였지만 외부에서 후임 목회자를 청빙해왔습니다.

서울 도곡동의 강변교회 김명혁 원로목사 역시 목사 사위가 있었지만 교회를 물려주지 않았습니다.

이들 목회자들은 자신의 인간적 욕심보다 하나님의 뜻을 먼저 구했다는 공통점이 있습니다.

그리고, 그 과정은 바람직한 청빙과정으로 구현되기도 합니다.

다양한 계층이 참여하는 청빙위원회를 구성해 전 교인이 합심해 기도하고 비록 시간은 오래 걸리지만 민주적인 절차를 밟아 후임 목회자를 선정하는 것입니다.

합리적이고 민주적인 리더십 교체를 통해 사회에 모범을 보이는 것, 한국교회의 신뢰도를 높이는 한 방법일 것입니다.


개신교, 초교파, 교회세습은 사람의 욕심을 따르는 것이다, 바울의 자족을 배우라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