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래 한글 제목을 클릭하세요!!

 [위험천만 토마스 주남] 천국은 확실히 있다, 시한부휴거론 - J블로그

펌출처(071103 자료)

: http://cafe.daum.net/soongsari/KfG/18


제 4 장: 헌금하는 사람, 연보하는 사람


1. 헌금하는 사람


혹 여러분이 출석하시는 교회의 헌금 종류가 몇 가진지 헤어보신 적 있습니까? 십일조헌금, 일반감사헌금, 각종 절기감사헌금, 건축헌금, 선교헌금 등의 봉투는 아마 거의 대부분의 교회가 기본으로 비치하고 있을 것 같고... 좀 더 많으면 구제헌금, 장학헌금, 주정헌금, 생일감사헌금, 신년 감사헌금 등이 아마 추가되고 있으리라 여겨집니다. 근데 왜 헌금을 하는가에 대해서는 생각해 보신 적 있습니까? 하나님께서 헌금하라고 한번이라도 말씀하신 적이 과연 있습니까? 죄송하지만 성경에선 한 군데서도 헌금하라는 말씀을 찾을 수 없습니다.

 

알다시피, 우선 십일조가 있지만 십일조는 돈을 드리는 것이 철저하게 아니었음을 이미 살폈고 돈을 드렸던 것으로 성전세가 있었지만 성전세는 그 이름에서 이미 알 수 있듯이 일종의 세금이었고 강제적이며 의무적인 성격이었기에 헌금이라고 할 수는 없을 것 같습니다. 그리고 각종 제사들 역시 제사를 원하는 사람은 자신의 형편에 맞는 제물을 준비해 오는 것이었지 돈으로 제사 준비를 했던 것은 분명 아니었습니다. 그리고 그런 제물에 대해서도 처음 그 법을 명령하고 있는 율법서에서나 이러 이러한 제물을 준비하라고 말씀하시고 있을 뿐 다른 말씀들 특히 선지서에 이르면 "제발 그런 헛된 제물들을 가져오지 말라(사 1:11-15)"는 말씀이 오히려 주된 음성이지, 왜 내게 제물을 바치지 않았느냐고 다그치신 적은 한번도 없음이 분명합니다.결국 하나님께 돈을 드린다는 생각은 결코 성경에서 비롯된 것이 아닙니다.


어, 그래요? 그래서 컴퓨터 성경으로 '헌금'이라는 단어를 검색해 봤습니다. 성경에서 '헌금'이라는 단어가 몇 번쯤 나올 것 같습니까? 신.구약 전체를 통틀어 '헌금'이라는 단어는 단 두 번만 나옵니다. 그것도 누가복음 21:1-4의 한 사건을 설명하는 가운데 두 번 나오는 것이 전부이니 사실은 단 한번 밖에 나오지 않는다고 말하는 것이 더 바를 것 같습니다. 지금 성경을 펼쳐서 확인해 보십시오. 가난한 과부가 두 렙돈을 연보궤에 드린 것과 부자들이 헌금한 것을 비교하여 예수께서 말씀하고 계시는 바로 그 본문에서입니다. 그리고 그 본문을 자세히 보시면 '연보궤'라는 단어가 나오며 그 연보궤에 부자들은 '헌금'하고 있다는 뉘앙스로 글이 쓰여져 있음을 읽을 수 있습니다.

 

과부에 관해서는 단순히 '넣었다'라는 동사를 사용하고 있는데 반하여 부자들에 관하여는 1절과 4절에서 두 번 다 '헌금'이라고 그 돈의 성격을 밝히고 있습니다. 부자들은 헌금하고 있었습니다. 정치 헌금을 하는 것과 또는 어떤 단체에 기부 헌금을 하는 것과 전혀 다를 바 없는 '헌금'을 그들은 하고 있었다는 것입니다. 결국 누가복음에서만 단 두 번 사용되고 있는 이 헌금도 결코 긍정적인 의미에서 사용되고 있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비판적인 의미로 사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면 결국 성경엔 헌금이 없다는 것이지요. 하나님께선 헌금을 요구하신 적도 없고 헌금을 인정하신 적도 없습니다. 즉 하나님께 돈을 드린다는 의식을 가지고 헌금을 하는 것은 성경에서 비롯된 생각이 아니라는 것입니다.


예수님 당시의 성전에는 연보궤가 있었습니다.

성전의 바깥뜰인 여인의 뜰에는 각각 다른 용도가 표시된 열세 개의 나팔 모양을 한 연보궤가 늘어서 있었는데 성전에 예배하러 왔던 사람들이 성전 입구에 서 있는 이 연보궤에 연보를 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그래서 당시의 부자들은 연보궤를 돌아가면서 주루룩 주루룩 소리가 나도록 -특히 모양이 나팔 모양이고 당시는 다 동전이었기에 그 소리가 아주 요란했다고 합니다- 각종 동전들을 집어넣으며 자신의 행위를 과시했던 것이지요.

 

그리고 그것을 누가는 '연보'가 아니라 '헌금'이라고 지적하고 있는 것입니다. 그리고 전문맥을 보면 사실 누가가 하고 싶었던 말은 헌금이 아니라 탈취물이라고 말하고 싶지 않았을까를 또한 읽을 수 있습니다.바로 앞 전문맥인 누가복음 예수께선 특별히 서기관들에 대하여 경고하시면서 "저희는 과부의 가산을 삼키며 외식으로 길게 기도한다(47절)"고 말씀하고 있는데, 바로 뒷 장면에서 그렇게 가산을 탈취 당한 과부는 그래도 자신의 전 재산인 두 렙돈을 연보하고 있는 장면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그런데 서기관들이 어떻게 과부의 가산을 삼켰을까요? 간단합니다. 서기관들은 레위인이었기에 십일조를 받았는데 마땅히 과부와 고아와 나그네들에게까지 전달되어야 할 십일조를 자신들이 다 챙긴것이지요. 그래서 당시에는 일부 소수가 십일조를 독점하였기에 같은 레위인이라도 권력을 쥐지 못했던 레위인들은 거의 거지 신세로 살아가는 일이 비일비재했습니다. 이것이 오늘 우리의 모습과 다르다고 말할 수 있습니까?


간단한 예로 예수님의 제자였던 레위 마태가 있지않습니까?

그의 본 이름은 레위이며(막 2:14) 마태는 제자가 된 후 예수께서 주신 이름입니다. 그가 가진 이름 '레위'는 물론 함부로 가질 수 없는 이름입니다. 그것은 그가 레위 지파였음을 알려줍니다. 그러나 그는 세리의 일을 하고 있었습니다. 십일조로 생활을 했어야 할 레위인의 입장에서 세리가 된다는 것은 분명 죽기보다 싫은 일이었을 것입니다. 그런데 오죽했으면 그가 세리의 일을 하고 있었겠습니까? 그렇기 때문에 예수께서 하신 "나를 따라오라"는 단 한마디의 말씀에 그는 당장 그 세리의 자리를 박차고 예수의 제자가 되었던 것입니다. 아무튼 이것이 당시의 현실이었습니다. 그래서 그 서기관들을 포함한 부자들은 불의한 돈을 가지고 오히려 행세하며 헌금하고 있었지만 그 헌금은 예수께서 인정하지 않으셨고, 오히려 가난하고 약탈당한 그러나 하나님을 사랑했고 오히려 자신보다도 못한 이웃을 생각하여 두 렙돈을 연보했던 과부의 연보만 예수께서 인정하셨던 것입니다.


그런데 더욱 황당하고 가관인 것은 이같은 성경의 말씀을 갖고 오늘날 설교하는 자들의 태도입니다. 다 아실 겁니다. 뭐라고 설교하고 있는지. "이 과부를 봐라. 아무리 가난해도 헌금은 꼭 해야한다. 이 궁색한 과부가 두 렙돈을 헌금할 수 있었다면 대부분의 우리들은 더 많은 헌금을 해야 마땅하다. 그래야만 하나님이 기뻐하시며 복을 내리신다". 과연 이렇게 설교하는 것이 정당하다고 생각하십니까? 그렇다면 결과적으로 강조되는 것이 "많이 넣는" 부자들의 헌금이지 적게 넣는 가난한 자들의 헌금이 분명 아닙니다. 그래서 어떤 본문을 갖다 대든 오직 헌금 많이 해서 복 받자는 결론을 끄집어내는 이런 왜곡된 설교들이야말로 오늘 한국교회들의 가장 심각한 문제입니다. 뒤에서 다시 강조하겠지만 헌금을 많이 하면 복 받는다는 생각 자체가 오히려 하나님을 모독하는 비성경적인 생각입니다. 그건 하나님을 맘몬으로 대체하는 또 다른 우상숭배를 강요하는 행위이지 결코 하나님을 바르게 섬기는 태도가 아닙니다. 하나님은 우리가 드리는 돈 몇 푼이 필요하신 분이 아니며 그 같은 행위로 하나님을 시험해서도 안될뿐더러 하나님께선 한번도 헌금을 원하신 적이 없습니다.


다시 강조하지만 하나님께 돈을 드리는 것 만큼 왜곡되고 거짓된 가르침은 없습니다. 구약에선 왜 한번도 헌금이라는 말이 나오지 않고 또 오히려 돈으로 십일조나 헌물을 드리지 못하도록 특별한 조치까지 취하고 있을까요? 신에게 돈을 주는 행위는 돈 받고 복을 팔았던 당시 이방신들의 일반적인 모습이었기 때문에 하나님은 당신을 향하여 돈 드리는 행위를 원치 않고 오히려 경멸하셨습니다. 그리고 가령 죄를 속하는 희생 제물을 돈으로 대신해서 드릴 수 있다고 한다면 제사 자체가 성립되지 않을뿐더러 '피 흘림이 없이는 죄 사함이 없다(히 9:22)'는 구속의 원리를 가르칠 수 없었기 때문에 돈으로는 결코 제물을 대신할 수 없습니다. 십일조 역시 토지의 소산으로만 바치게 했던 이유가 분명히 있었습니다. 즉 하나님의 관심은 돈이 아니라 하나님의 백성들이 하나님의 뜻을 깨닫고 하나님 알아가기를 원하셨기 때문에 가장 일반적인 종교 행위였던 돈으로 드리는 헌금을 오히려 거절하셨던 것입니다. 하물며 하나님께 헌금을 많이 드림으로 축복을 받는다는 논리는 얼토당토 않고 오히려 그 반대로 돈이나 얄팍한 인간들의 행위로 하나님을 시험하는 것은 자멸을 재촉하는 길이라면 오히려 맞겠습니다.


그리고 지금 제가 단호히 거부하는 것은 그릇된 동기로 하나님께 돈을 드리는 행위를 말하고 있는 것이며, 그것이 성경에선 오히려 헌금이라는 용어로 사용되고 있기에 그 헌금을 반대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그런 의미에서 지금도 우리가 헌금을 하면서 하나님께 드린다는 생각으로 헌금을 하는 것은 잘못된 생각입니다. 꼼꼼히 새겨 읽으십시오. 하나님께 드린다는 생각으로 헌금을 하시면 안됩니다. 구약시대가 아니라고 해서 이제는 돈을 드려도 된다는 근거가 전혀 없고 또 '어제나 오늘이나 동일하신 하나님'의 속성상 돈을 숭배하는 맘모니즘이 더욱 더 견고한 이 시대의 가치관이 된 지금, 그 돈으로 하나님이 평가되고 인간의 삶이 평가되기를 하나님은 더욱 더 원치 않으실 것이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하나님께 돈을 드릴 수는 없지만 교회의 사역을 위하여 그야말로 '헌금'하는 것은 오히려 정당합니다. 지상의 교회는 땅에 속한 한 기관이요 일정한 비영리 조직이기에 헌금을 필요로 합니다. 그래서 교회를 위하여는 헌금하지만 그것을 하나님께 드린다고 생각해서는 안된다는 것입니다. 교회를 위하여 헌금하는 것은 일종의 기부행위요 또 내가 속한 조직과 공동체를 유지하기 위한 책임이기에 그저 기꺼운 마음으로 하면 됩니다. 그런데 하나님께 드린다는 생각이 개입되면 그 순간 그것은 자기 의가 되고 자신의 행위를 하나님 앞에서 과시하는 것이 되기에 바리새인들의 행위처럼 죄가 될 수 있습니다. 우리가 하나님께 드릴 수 있는 것은 우리의 온전한 마음과 믿음의 삶이지 돈이 아닙니다. 돈은 그저 교회를 위하여 또 하나님께서 기뻐하시는 일을 위하여 드리면 됩니다. 그리고 십일조와 헌물들을 대신하여 오늘 우리가 하나님께 드린다고 생각할 수 있는 것은 '헌금'이 아니라 '연보'입니다.


(2). 연보하는 사람


앞선 누가복음에서도 등장했었지만 예수님 당시의 성전에도 연보제도가 있었으며, 구약에선 역대하 34:9,14에서 '연보'한 돈으로 성전을 수리하는 일에 쓰고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 연보는 물론 십일조와 성전세와는 다른 돈으로 요즘 헌금으로 비교한다면 일종의 건축헌금인 셈이었습니다. 그리고 예수님 당시의 성전에는 이렇게 성전건축을 위한 연보, 구제를 위한 연보 등의 각각 다른 항목이 적힌 13개의 연보궤가 놓여 있었고 성전에 출입하던 백성들은 자유롭게 연보 할 수 있었습니다. 이렇게 볼 때 율법서에서 구체적으로 연보하라는 명령을 찾을 수는 없지만 꽤 오랜 시간동안 관례적으로 연보를 해 왔던 것으로 알 수 있습니다. 그리고 신약시대로 이르면 신약성경에선 '연보'라는 단어가 12번이나 나오고 있습니다. 헬라어로는 조금씩 단어가 다르지만 한글로는 다 연보라고 번역하고 있고 단어는 달라도 그 행위들은 다 연보였습니다. 즉 아직까지는 '연보'라는 단어가 특정한 고유명사를 갖진 못했으나 연보한다는 행위는 일반적으로 행해지고 있었다고 이해할 수 있습니다.


그러면 우선 연보(捐補)라는 말에 대해서 살펴보겠습니다.

'연보(捐補)'의 연(捐)은 원래 '버린다'의 뜻으로 사용된 말인데 '주다, 바치다, 내놓다, 기부하다'라는 뜻으로 발전했습니다. 즉 자신이 가지고 있는 것을 버림으로 타인에게 내 놓거나 바치거나 기부한다는 뜻인 셈입니다. 그리고 연보의 '보(補)'는 원래 '깁다'라는 뜻을 가진 말인데 '고치다, 보태다, 돕다'라는 뜻으로 발전했습니다. 결국 한자로 된 연보를 원래의 단어 뜻대로 해석하면, 자기 것을 버려서 헤어지고 떨어진 곳을 기워준다는 뜻이 됩니다. 참 좋은 뜻의 단어이며 원어의 의미도 잘 살린 아주 좋은 단어라고 생각됩니다.

 

그래서 한글번역은 일관되게 '연보'라는 단어를 사용하고 있으며 교회에서도 과거에는 연보를 드린다고 했지 헌금을 드린다고 한 것은 사실 최근의 일입니다. 한국 땅에 처음 복음이 전파되고 모두가 가난하고 어려운 사람들을 중심으로 교회가 구성되었을 때 우리는 의례히 '연보한다'라고 했습니다. 그런데 언제부턴가 모두들 살림살이가 조금씩 나아지고 특히 좀 산다는 사람들 중심으로 교회가 구성되기 시작하면서 슬그머니 연보는 사라지고 어느 듯 헌금으로 대체된 것이 한국 교회사에 나타난 헌금제도의 변천사입니다. 결국 연보궤에 헌금을 넣는 서기관의 모습을 떠올리지 않을 수 없습니다.


신약 성경에 나타난 연보는 우선 고전 16:1,2에 "성도를 위한 연보에 대하여는 내가 갈라디아 교회들에게 명한 것 같이 너희도 그렇게 하라. 매 주일 첫날에 너희 각 사람이 이를 얻은 대로 저축하여 두어서 내가 갈 때에 연보를 하지 않게 하라"는 말씀을 먼저 기억할 수 있습니다. 이 구절에 두 번 사용되어 연보로 번역된 헬라어 단어는 logia'로기아'인데 영어로는 collection, 즉 모금이라는 말입니다. 그리고 이 연보는 당시 흉년을 만나 어려움에 처했던 예루살렘 성도들을 돕기 위한 모금이었습니다. 오늘날 교회들은 이 구절을 근거로 매 주일 모일 때마다 '헌금'을 하지만 자세히 보시면 그렇게 적용할 수 없다는 것을 쉽게 알 수 있습니다.

 

이 말은 매 주일 교회에다 헌금을 하라는 말이 아니라 일주일에 한번씩 스스로 저축을 해 두었다가 바울이 오면 따로 연보하지 말고 지금껏 자신들이 저축한 그것으로 연보하라는 말씀입니다. 그래서 영어 성경을 보면 '저축하라'는 단어 뒤에 'by himself'라는 '자기 스스로, 혼자서'라는 어구가 있어서 이 말이 공적인 헌금을 말하는 것이 아니라 사적인 준비를 뜻하고 있음을 분명히 알 수 있습니다. 요즘 식으로 이해하면 초기 교회야 지금의 구역모임과 비슷했으니까 매 주일 첫 날에 각 가정에서 가정 헌금 형식으로 연보를 모아두었다가 그 모아진 것을 가지고 바울이 왔을 때 연보를 해서 예루살렘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하라는 것이었습니다.

 

그리고 요즘 같으면 바울같은 '대부흥사'가 왔는데 큰 부흥회를 개최하여 아마도 넘치게 헌금을 거둘 수 있었을 테지만, 바울은 오히려 성도들에게 부담을 주지 않으려 했고 또 연보의 참된 의미를 살리기 위하여 그런 즉흥적이며 충동적인 헌금을 못하도록 오히려 "내가 갈때에 연보하지 않게 하라"고 말씀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물론 그 연보의 사용처도 기근을 당한 예루살렘 성도들을 돕기 위한 것이었기에, 오늘 한국 교회들의 헌금은 이런 여러 점에서도 성경의 가르침과는 달라도 한참이나 다르며 성경에서는 그 모델을 찾을 수 없습니다.


그리고 두 번째로 살펴 볼 단어는 헬라어 aplothtoV'하프로테토스(고후 8:2, 9:11, 9:13)' , adrothV'하드로테스(고후 8:20)' , eulogia'유로기아(고후 9:5)'로 단어들은 조금씩 차이가 있지만 영어로는 generosity, generous gift, liberality gift로 번역되고 있는, 모두가 구제를 염두에 둔 관대한 나눔의 의미를 담고 있어서 '연보'의 의미 그 자체입니다. 그리고 이렇게 바울에 의하여 주로 언급된 연보들을 정리해 보면 몇 가지로 뚜렷해지는 연보의 원리들을 세워볼 수 있습니다. 이같은 원리들을 제시하는 성경 구절들을 꼭 찾아서 읽어보십시오.


① 연보는 있는 대로 형편대로 하면 됩니다.

(고후 8:11-12)

 

② 연보는 준비하는 자세를 가져야 합니다.

(고후 9:5)

 

③ 연보는 마음에 정한대로(자율적으로) 해야 합니다.

(고후 9:7)

 

④ 연보는 즐거운 마음으로 해야 합니다.

(고후 9:7)

 

⑤ 연보를 통하여 평균케 되는 삶이 나타나야 합니다.

(고후 8:14-15)


연보가 십일조를 대체한다고 생각할 수 있는 것이 바로 이와같은 연보의 원리가 십일조의 원리인 '의와 인과 신'의 원리와 같기 때문입니다. 특히 십일조를 통하여 나눔의 삶이 실현되고 하나님의 백성들이 경제적으로 함께 평균케 되길 하나님은 원하셨기에, 연보는 십일조의 가장 기본적인 그 뜻을 이룰 수 있도록 오늘 우리에게 주신 방편이다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하나님의 백성들이 서로 공유함으로 평균케 되는 것은 구속의 역사에서 항상 따라오는 첫 원리입니다. 출애굽한 이스라엘 백성들이 애굽을 나와 즉 구속함 받아 광야에서 배웠던 첫 원리가 만나를 통해 "많이 거둔자도 남지 않고 적게 거둔 자도 모자라지 않는(고후 8:15)" 평균케 된 삶이었습니다.

 

그러므로 그 광야에서 하나님은 율법을 주심으로 광야에서 누렸던 그 평균케 된 공유의 삶이 지속될 수 있도록 안식년과 십일조의 제도를 주셨습니다. 그러나 결국 율법으로는 하나님의 뜻을 온전히 이룰 수 없었기에 예수 그리스도를 통한 구속의 사역이 필요했던 것이며 십자가와 부활의 사역으로 성령을 주신 것이 아닙니까? 그리고 예수 그리스도를 믿음으로 성령을 받았던 구속받은 그 성도들의 삶은 또한 어떻습니까? 사도행전이 우리에게 보여 주듯이 "재산과 소유를 팔아 각 사람의 필요를 따라 나눠주고 있는(행 2:45, 4:32)", 역시 공유의 삶이며 평균케 되는 원리입니다. 그러므로 성령 안에서 구속의 진리를 가르쳤던 바울 사도가 "너희의 유여한 것으로 저희의 부족한 것을 보충함은 후에 저희 유여한 것으로 너희 부족한 것을 보충하여 평균케 하려 함이라(고후 8:14)"고 지적하며 연보를 권고하고 있는 것은 지극히 당연한 가르침이며 하나님의 뜻을 정확하게 적용한 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


(3). 개혁할 때가지 맡겨 둔 것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와 부활 이후에는 십일조라는 말이 더 이상 나오지 않으며 그리고 헌금이라는 말도 더 이상 나오지 않습니다. 당연한 것이 십일조와 헌물은 제사 제도에 종속된 것이기 때문이며 예수 그리스도의 구속으로 제사 제도와 성전이 필요 없게 되었고 또 실지로 사라진 지금은 아무런 의미가 없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히브리서 9:9-10에서는 이렇게 말씀하고 있습니다. "장막에 의지하여 드리는 예물과 제사가 섬기는 자로 그 양심상으로 온전케 할 수 없나니 이런 것은 먹고 마시는 것과 여러 가지 씻는 것과 함께 육체의 예법만 되어 개혁할 때까지 맡겨 둔 것이니라" '예물과 제사'는 폐지되었습니다.

 

예수께서 우리의 죄 값을 십자가상에서 대신 치러주실 때, 우리가 일생 동안 바쳐야 할 십일조와 헌금까지도 다 바치심으로 십일조 예물과 헌금 예물을 폐지하셨습니다. 그냥 폐지하신 것이 아니라 완성하심으로 폐지하셨습니다. 왜 이 사실을 믿지 않습니까? 처음부터도 그랬지만 이제는 참으로 하나님께 돈을 일체 바칠 필요가 없다는 사실을 왜 믿음으로 받아들이지 못하고 여전히 그 잘난 돈 몇 푼으로 하나님을 시험하며 스스로의 무덤을 파고 있습니까? 도대체 우리의 믿음이 어디에 있으며 무엇을 믿는 다는 말입니까? 참으로 믿는다고 하면서 왜 여전히 나의 행위로 뭔가를 과시하고 이루어보려고 합니까? 제발 좀 예수 믿고 삽시다! 예수 그리스도의 구속 사역은 구원에 관한 우리의 모든 것을 다 온전히 이루셨습니다. 예물과 제사는 이미 다 이루어졌습니다.


"제사 직분이 변역한즉 율법도 반드시 변역하리니(히 7:12)"

모든 것이 이미 다 변했고 모든 것이 이미 다 이루어졌습니다. 그리고 이것을 받아들이는 것이 바로 믿음입니다. 십일조는 이미 폐해졌습니다. 그리고 하나님께 돈을 드릴 이유는 처음부터 없었거니와 물론 지금은 더더욱 없습니다. '개혁할 때가지 맡겨 둔 것'들이 개혁된 지는 이미 지나도 한참을 지났으며, 모든 것이 이미 다 이루어졌고 다 변했습니다. 그러므로 하나님께 헌금한다고 말함으로 자멸의 구덩이를 제발 파지 파십시오.

 

헌금은 그냥 교회의 운영과 선한 사업들을 위하여 그대로 하면 됩니다. 그것 자체가 "받으실 만한 향기로운 재물이요 하나님을 기쁘시게 한 것(빌 4:18)"입니다. 빌립보서의 이 말씀도 빌립보 성도들이 복 받을려고 충동되어서 바친 헌금들이 아니라 바울의 선교사역을 돕기 위한 연보였고 선교헌금이었음을 기억해야 합니다. 이와같은 연보들은 분명히 하나님을 기쁘시게 하는 것입니다. 교회는 헌금을 필요로 합니다. 그 헌금들은 하나님께서 기뻐하십니다. 왜냐하면 그 동기가 하나님께 바치겠다는 동기가 아니라 바울과 그의 선교 사역을 단순히 돕겠다는 선한 동기였기 때문입니다. 제 말은 하나님께 한다는 거짓 가르침에 속아 억지로나 또는 생색내며 헌금하지 말라는 것이며, 이제는 그 십일조와 헌금에서 마땅히 자유를 누려야 합니다.

 

 "그리스도께서 우리로 자유케 하려고 자유를 주셨으니 그러므로 굳세게 서서 다시는 종의 멍에를 메지 말라(갈 5:1)"고 말했던 바울의 말씀처럼 이제는 자유해야 하며 더 이상 십일조와 헌금이라는 또 다른 종의 멍에를 메지 말아야 합니다. 그러나 바울은 이어지는 6장에서 "너희가 짐을 서로 지라. 그리하여 그리스도의 법을 성취하라(갈 6:2)"고 말씀함으로 그리스도인의 자유는 거기서 끝나는 것이 아님을 지적하고 있습니다.


(4).주라, 그리하면 너희에게 줄 것이니


기복주의와 무속신앙으로 점철된 인간 종교의 역사는 끊임없이 신에게 뭔가를 제공함으로 신으로부터 그에 따른 수혜(복)를 입을 수 있다는 패러다임을 유지해 왔습니다. 구약에서 그토록 경고하고 있는 우상 숭배가 바로 그러한 이방종교들의 패러다임에 대한 경고였으며, 예수님 시대의 바리새인들이 예수님에게 그토록 강력한 비판을 받았던 것도 하나님을 향하여 자신들의 행위를 내세우며 자기 의에 빠진 모습들 때문이었습니다. 반면에 하나님께서 요구하셨고 예수께서 다시 반복하신 말씀들은 이와같은 일반 종교의 패러다임에 대한 전복(顚覆)이었으니 즉, 네가 정말 하나님을 사랑한다면 그 사랑을 이웃을 향하여 나타내라는 것이었으며, 십일조가 바로 그러했습니다.

 

하나님께 대한 믿음과 사랑의 고백인데 그 표현은 레위인과 객들과 과부와 고아들과 나눠 먹는 것으로 표시되어야 했습니다. 즉 돈은 신(神)이 아니라 사람들과 함께 나누라는 가히 모든 종교의 페러다임을 깨는 가르침이었습니다. 그래서 하나님을 사랑함으로 하나님께 뭔가를 드리고 싶다면 그것을 하나님께 바치지 말고 그것을 오히려 네 이웃에게 주라는 것이 하나님의 의도였으며 물론 동일하신 예수님의 메시지였습니다.예수님도 하나님께 돈을 바치라고 말씀하신 적이 한번도 없으며, 예수님의 줄기찬 메시지는 "네가 하나님을 사랑한다면 네 소유를 팔아 가난한 자들에게 주라(마 19:21, 막 10:21)"는 것이었습니다.

 

 그리고 "주라, 그리하면 너희에게 줄 것이니 곧 후히 되어 누르고 흔들어 넘치도록 하여 너희에게 안겨 주리라(눅 6:38)"는 말씀이었습니다. 예수께서 말씀하신 복 받는 유일한 조건이 있다면 사실 이 말씀 속에 있습니다. 십일조를 철저히 하고 헌금을 많이 하는 것이 아니라 "주라!"는 것입니다. 누구에게 주어야 하냐면 눅 6:38 그 말씀의 전문맥을 보면 '원수'라는 것을 쉽게 알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복 달라며 교회에 바친다고 복을 주시는 것이 아니라 원수에게 주는 것이 오히려 복의 조건인데, 그토록 복을 좋아하고 갈구하면서 왜 이 말씀은 큰 소리로 가르치지 않는 지 모르겠습니다. 그래서 참으로 예수를 만나고 성령으로 충만했던 하나님 백성들의 모임은 이 말씀이 문자 그대로 이루어져, 흔들어 넘치도록 안겨 주셨으며 그 가운데 한 사람도 핍절한 자가 없지(행 2:44-45, 4:32-35) 않았습니까? 심지어 고넬료는 이방인었고 로마의 군대장관이었으며 아직 성령을 알기 전이었지만 그의 '구제와 기도(행 10:31)'를 하나님께서 기억하시지 않았습니까?

 

교회는 구제단체가 아니고 자선기관이 분명 아닙니다. 그러나 교회에 속한 그리스도인은 "주라!"고 명령하시는 예수님의 음성 앞에서 아무도 자유로울 수 없습니다. 그래서 하나님께서 그토록 원하셨던 하나님 나라에 속한 하나님 백성들의 공동체는, 인색한 인간의 본성으로는 도저히 할 수 없었기에 율법으로는 되지 못하였고 결국 우리에게 성령을 주신 것이며, 초대교회의 역사가 보여 주듯이 성령의 충만함을 입음으로 마침내 가능하지 않았습니까? 성령의 충만으로 하나님의 사랑이 우리에게 부어지니 하나님이 원하셨던 대로, 하나님께 돈을 드리는 것이 아니라 이웃에게 돈을 나누는 모습으로 변하지 않았습니까? 그러므로 이제 예수 그리스도의 구속으로 구원을 받고 성령과 동행하는 우리에겐 우리에게 복으로 주시는 물질들을 이웃과 함께 나누는 일만이 남게 된 것이며, 이것이 진정 성령 충만한 그리스도인의 모습이며, 이 일을 행하는 도구가 바로 연보입니다.

 

그러므로 돈은 하나님께 드리는 것이 아니라 연보를 통하여 이웃에게 나눠져야 합니다. 그래서 마지막 날에 양과 염소를 분별하는 기준이 무엇이었습니까? "내가 진실로 너희에게 이르노니 너희가 여기 내 형제 중에 지극히 작은 자 하나에게 한 것이 곧 내게 한 것이니라(마 25:40, 45)"는 말씀이 아니었습니까? 거기 심판대에 선 자들은 하나님을 몰랐던 자들이 아닙니다. 염소의 자리인 왼편에 선 자들의 대답(25:44-45)을 들어보면, 그들은 하나님을 대접해야 한다는 사실을 몰랐던 자들이 아니라 그들이 몰랐던 것은 '지극히 작은 자에게 하는 것이 곧 하나님께 하는 것이다'는 바로 이 사실을 몰랐기에 그들은 결국 염소의 자리에 서게 된 것이었습니다.


종말의 심판에 대해 언급하고 있는 마태복음 25장에는 세 비유가 등장합니다. 너무나 잘 알고 있는 열 처녀의 비유와 달란트의 비유 그리고 양과 염소의 비유인데, 한결같은 공통적인 메시지는 하나님을 알되 잘못 알고 있는 자들이 심판대 앞에 서 있다는 사실입니다. 미련한 다섯 처녀는 신랑이 온다는 사실을 몰랐던 것이 아닙니다. 다만 그들은 신랑이 이렇게 더디 올 줄은 몰랐던(25:5) 자들이었습니다. 그리고 한 달란트 받았던 종은 주인을 알았지만 그 주인이 어떤 사람인지를 몰랐고(마 25:24-26) 그저 자신의 생각대로 그 주인을 판단하고 있었던 것입니다.마찬가지로 염소의 자리에 선 그들도 하나님을 대접해야 한다는 사실을 몰랐던 것이 아니라 하나님을 대접하는 방법, 즉 그것이 바로 이웃을 향하여 '주는' 것이다는 사실을 몰랐던 것입니다.


한국교회 성도들이 얼마나 하나님을 사랑하며 하나님을 섬기길 원하는 지 목사인 저는 잘 알고 있습니다. 그래서 대부분의 성도님들이 다 그런 순수한 마음으로 어려운 형편에도 하나님께 헌금하는 일에는 늘 최선을 다하고 있다는 사실을 잘 알고 있습니다. 그런데 바로 그래서 더욱 화가 나는 것입니다. 그 순수함을 등쳐먹으면서 '천국 문을 사람들 앞에서 닫고 자기도 들어가지 않고 들어가려 하는 자들은 엉뚱한 길로 인도하는 소경된 인도자들(마 23:13)' 아니 그 사기꾼 인도자들에게 분노하는 것입니다. 하나님께 헌금하라고 엉터리로 가르치며 협박까지 하면서 정작 오늘 우리가 연보 해야 할, 우리에게 보내신 하나님인, 우리의 이웃들을 향하여는 귀 막고 손 접게 만들었던 그 인도자들에게 분노하는 것입니다. 그래서 더 이상 거룩하신 우리 하나님을 복채를 챙기는 우상신으로 전락시키는 발람의 후예들이 교회에서 판을 치게 해서는 안되며, 하나님께 돈을 바친다는 샤마니즘적인 관념을 우리들의 머리 속에서 하루 빨리 뽑아 내야 합니다. 그래서 참으로 우리는 하나님을 바르게 알아야 하며 그 하나님 앞에서 바르게 행해야 합니다.


그러나 물론 대부분의 교회들이 어쨌든 많이 헌금된 그 돈을 바르게 잘 쓰고 있으며 특히 이웃을 향한 섬김과 구제의 손길에도 사실은 다른 종교들보다 훨씬 더 많이 사용하고 있다는 통계도 가지고 있습니다. 실지로는 불교와는 비교할 수도 없고 카톨릭 보다도 사실은 개신교가 월등히 더 많은 돈을 나눔과 구제에 지출하고 있습니다. 물론 총액을 기준으로 한 것이기에 가장 돈이 많은 교회가 앞섰고 전체 헌금 중 비율로 따진다면 그렇지도 않지만. 아무튼 그런데 왜 교회는 이웃을 향해 귀 막고 있다고 일반적으로 평가되고 있겠습니까?

 

꼭 꼬집어 말할 순 없지만 설교를 통해 선포되는 메시지들의 기복적인 편향성이 그런 인식을 낳은 것 같으며 특히 대형 교회들의 행태가 그러한 문제들의 중심에 있는 것 같습니다. 그래도 실지로는 80%에 육박하는 목사님들과 사역자들이 생계의 곤란을 겪으면서 사역하고 있고 대부분의 성도들이 어렵고 힘들게 헌금하고 있는 형편을 보면, 저의 이런 글이 필요할까 싶은 생각을 수 백번도 더 했습니다. 그런데 결론은 그렇기 때문에 바르게 밝혀 말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할 수 밖에 없었습니다.


왜냐하면 그렇게 열심히 헌금하고 있지만 그 열심들이 바른 지식을 좇은 것이 아니면(롬 10:2) 결국은 헛되기 때문이며 또 참으로 어렵고 힘들게 사역하는 많은 사역자들에게 바르게 사용되는 연보의 몫이 돌아가서 그들에게 힘이 되어야 한다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이제는 부자들의 교회가 되어 버린 교회에서, 헌금 많이 못한다는 부끄러움을 안고 그러나 신실하고 소박한 믿음으로 꿋꿋하게 신앙 생활하는, 참으로 작고 소중한 성도들에게도 이제는 바르게 사용되는 연보의 몫이 돌아가서 교회를 통해 이루어지는 하나님의 나라를 맛보게 해야 한다고 믿기 때문입니다.

 

그렇습니다. 교회는 참으로 잠시나마 하나님의 나라를 맛보게 해 줄 수 있는 곳이 되어야 합니다. 물론 예배 잘 드리면 된다고 우기시는 분도 있겠지만 결코 그것만이 아닙니다. 성경이 너무나 명확하게 보여 주고 있지 않습니까? 그리고 예수 그리스도의 영광스러운 은혜와 자유의 복음을 소유하고 있는 한국교회가 헌금과 십일조라는 장애물 때문에 전도의 문이 닫혀 수많은 영혼들을 잃게 된다면 앞으로 우리가 어떻게 하나님 앞에 설 수 있겠습니까?


그리고 그 무엇보다 '복음'이 온전하게 '복음'으로 선포되는 것이 중요하며 그것만이 예수의 피로 구속받은 우리의 유일한 소명이며 자랑이며 소망이라고 저는 믿기 때문입니다. 기울어 가는 교회를 바라보며 그 기둥을 다시 부둥켜 안고 세워야 할 소임을 부여받은 작은 목사로서 참으로 잠 못 이루는 밤들을 보내며 고민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정답은 알고 있습니다. 우리가 모르는 것이 아니라 잊혀진 것, '복음을 다시 복음되게 하는 것' 바로 그것입니다. 물론 비록 정답을 알아도 그 여정이 순탄치는 않겠지만 '복음'이 진정 '복음'되어야 한다는 이 정당성 앞에 무릎꿇지 않을 수 없습니다. 복음은 우리를 옭아맸던 그 무수한 속박들을 끊는 자유입니다. 그래서 그 자유를 가지고 이제는 예수의 가르침 앞에 순복하는 또 다른 굴종입니다. 그것이 내 힘으로는 될 수 없는 일들이기에 성령님의 도우심을 구하는 아름다운 굴종입니다. 이 복음의 진리 안에서 함께 은혜와 자유와 평강 누리시길 바랍니다.

 

뉴스앤조이 한마당에서 펌---부산 진리로자유케하는 교회 우주현목사님의 글
 
**주: 숭사리개혁포럼의 ikorea님이 히브리어 및 헬라어 원어를 추가했습니다.
 


 

관련

 David Yoo 프로필


- 개신교 기독교회 직분자

- 경영학 전공
- 현재, (주) S사 대표이사

- 미국계 다국적 기업 R그룹 한국 지사장 역임
- 미국계 다국적 기업 P사 아시아 태평양 담당 사장 역임

- 미국계 다국적 기업 P사 한국 지사장 역임

- 미국계 다국적 기업 G사 기획실장 역임 


전자책 일부 정독하기: 십일조 안 해도 됩니다 

     <- 위 한글 제목을 클릭하세요!


  EBOOK 구매하기

: https://ridibooks.com/v2/Detail?id=893001163

 

조성기(조누가) 지음 / 평단문화사   10점

 

이미지 출처: http://wordspirit.tistory.com/816

 

  십일조 폐지및 각자 연보 관련 자료 보기: http://cafe.daum.net/abj3927/Obfb/117

 

  찬양 사역자에서 과일 장수로 변신한 '힐링처치' 목사: http://me2.do/GdEpe6Al 

 

messenger 

 

교회가 운영되기 위해서는 돈이 필요합니다. 이것을 부정하려는 의도로 이 글을 적는 것이 아님을 밝혀두고 싶습니다. 구약시대가 아닌 지금의 신약시대에서 과연 성경의 기준으로 볼 때, 십일조가 맞느냐? 연보가 맞느냐?에 대한 재조명을 하려는 것입니다.

 

결론부터 말씀드린다면, 십일조나 헌금이라는 용어는 신약교회에 합당하지 않습니다. 먼저, 신약교회는 <십일조 헌금>이 아니라, <연보>만 있습니다. 저 역시, 30년이 넘도록 철저하게 실천하려고 했던 <십일조주의자>로 살았습니다.

 

급여 십일조, 상여금 십일조, 교육비 십일조, 출장비 십일조, 숙직비 십일조, 명절 위로금 십일조, 퇴직금 십일조, 연금 십일조, 논 십일조, 쌀 십일조(1/10의 쌀), 주택 십일조(시세차액), 상품권 십일조(상품권 선물), 각종이자 십일조, 적립포인트 십일조, 근무복 십일조, 식사 십일조(타인에게 대접받은 식사), 보험배당금 십일조, 행사선물 십일조(선물가 가격 환산), 결혼축의금 십일조, 장례부의금 십일조, 용돈 십일조(과거의 부모, 자녀), 분납 십일조(돈 없을 때, 십일조를 수십개월로 나누어 냄), 재십일조(십일조를 구제기관에 내고 신앙양심으로 갈등할 때, 십일조를 다시 교회에 냄)..

 

딱 한가지! 못한 것이 있습니다대출 십일조 입니다. 돈을 빌렸을 때 수입으로 간주하여 내는 십일조 입니다. 이웃 교회의 십일조 논리에 의한 것인데요.

 

 

돈을 빌린 것도 하나님의 은혜로 된 것이고, 역수입이라는 논리로 십일조 내는 것이 맞다고 하나, 한번도 하지 않았습니다.

 

돈이 아까워서가 아니라, 돈이 없어 빌린 것이기 때문입니다. 제가 30년 이상 넘도록 배우고 가르친 개신교회의 십일조 신앙관은 이것입니다.

 

1. 십일조를 떼 먹으면, 십일조 금액이나 그 이상의 사건 또는 손해를 반드시 당하게 된다.

 

2. 십일조로 구별할 때는 새지폐로 하거나, 헌지폐라도 다리미로 다리는 정성을 보인다.

 

3. 내가 쓰고 남은 잔돈으로는 십일조 하지 말고, 소득있으면 반드시 가장 먼저 구분한다.

 

4. 소득이든, 물품이든 내게 수익이라고 생각되는 경우에는 돈으로 십일조를 구분한다.

 

5. 하나님 아버지께서 주신 소득의 전부를 대표하는 것이 십일조이므로, 천국에 쌓인다.

 

6. 십일조 하지 않는 사람은 하나님의 것을 도적질하는 큰 죄에 해당되어 보응이 따른다.

 

7. 십일조를 억지로 하거나, 인색함으로 하거나, 속여서 하면 하나님께서 받지 않으신다.

 

8. 십일조 만큼은 내가 속한 교회로 반드시 드려야 하고, 이웃교회에 드리면 무효가 된다.

 

9. 십일조 가지고 어려운 사람 구제하면 안되며, 십일조 외의 다른 돈으로 구제해야 한다.

 

10. 십일조는 비성경적이고 연보가 성경적이라고 말하는 사람은 사단에게 속는 것이다.

 

11. 십일조도 복되지만, 십의 이조나 십의 삼조 드리는 사람은 신앙좋은 그리스도인이다.

 

12. 월정헌금 낸 영혼들은 십일조가 아까운 것이고, 믿음이 반토막 난 그리스도인들이다.

 

13. 온전한 십일조를 하지 않는 영혼은 천국문 입성에 매우 중대한 장애물이 될 수있다.

 

그런데, 가정경제가 어려워지면서 십일조를 안한지 불과 몇년 만에 제3자에 의하여 퇴직금으로 투자한 사업이 쫄딱 망하고, 억지로 떠 안은 부채와 이자.. 저와 상관없는 많은 채권자들의 아우성도 생겨났습니다. 이런 일을 하나님 아버지께서 만드셨을까요? 아니면, 사단이 뒤집어 엎었을까요?

 

잘못 생각하면, 전자처럼 착각할 수도 있지만 후자가 성경적입니다. 그리고, 가장 중요한 점은 사업장이 쫄딱 망하게 된 일이 십일조를 안 낸 것과 관련이 있는가? 입니다.

 

여러분들은 어떻게 말씀하고 싶으십니까?  십일조를 안하니 망한 것이다! 아주 딱 들어맞은 이야기 같습니다.

 

사단이 개신교회나 저같은 그리스도인을 농락하기 좋은 사건을 만든 다음에 "너는 내말을 들어라! 내가 뭐라고 하더냐? 십일조 안하면 망한다고 하지 않더냐? 그러니, 회개하여라.

 

" 국내외 개신교회 사역자 여러분! 하나님 아버지를 투자회사 총회장으로 만들지 마시길 부탁드립니다.


저는 이번에 십일조 중단과 사업장 폐업에 관련하여 기도하면서 열심히 공부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이 사건이 십일조 때문이 아니라는 것을 하나님 아버지께서 악을 선으로 바꾸시는 전화위복을 통해서 반드시 증명해 주실 것을 위해, 간절히 기도하고 있습니다.

 

이미 저는 십일조와 연보에 대한 성령님의 응답을 받은 기도의 결과를 가졌고, 개신교 여러 자료들을 앞으로 카페나 블로그에 게시하면서 증거하려고 합니다. 저는 이런 결론을 내리고 싶습니다.

 

저희 부부가 십일조를 계속 했어도, 사업장은 틀림없이 망했다 입니다. 결정적 사유는 제3자가 13년간 무책임한 독단 부실경영을 했기 때문입니다.

 

십일조 때문에 망한 것이 아니라, 영적인 다른 문제 때문으로 봐야 합니다.

 

카페나 블로그에서 이단-사이비 자료가 아닌, 개신교회의 <십일조와 연보>에 대한 맨상단의 자료들을 보시면, 손사래를 치지 마시고 기도하면서 자세히 정독하실 것을 권유합니다. 모르면 약도 없고, 무식하면 용감하기 때문이지요.

 

모든 소득의 십일조를 구분하는 정성은 대단한 것이고, 교회 공동체 앞에 내어 놓는 행위는 아름다운 일입니다.

 

그럼에도, 모든 소득의 10% 십일조를 하나님께 바친다는 헌금 명목으로는 하지 마시고,

 

각자 형편과 감사로 본인이 정한 월정 연보 또는 주의날 연보만 하면 교회공동체의 최소한 운영에는 무난할 것입니다.

 

가정경제 형편이 어려운 경우에는 떳떳하게 안하면 되고..반대로, 부자는 많이 하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1Co 16:2  Upon the first2596, 3391 day of the week4521 let every one1538 of you5216 lay5087 by3844 him1438 in store,2343 as3748, 302 God hath prospered2137 him, that2443 there be1096 no3361 gatherings3048 when(3752) I come.2064


[개역]고전 16:2 주일(day of the weekG4521 명사 -소유격-중성-단수) 에(Upon the firstG2596,G3391) 너희(of youG5216) 각 사람이( let every oneG1538) 이를 얻은대로(God hath prosperedG2137) 저축하여(in store,G2343) 두어서(layG5087) 내가 갈(I come.G2064) 때에(when(G3752)) 연보를( gatheringsG3048) 하지( there beG1096) 않게(noG3361) 하라( there beG1096)


[KJV]고전 16:2 G4521 G2596,G3391 너희 각자가 하나님께서 번성케 하신 대로 따로 저축(貯蓄)하여 두어서 내가 갈 때에는 모금(募金)G3048)하는 일이 없게 하라.

 

img7772_1.gif 메모: 매주일 혹은 매주로 역된 헬라어는 삽바톤이며 안식일을 의미합니다. "매"라는 단어 또한 삽입된 말이며 원래 헬라어 사본에는 안식일 하나(첫)를 통해서 너희 각자가.....입니다.


img7772_1.gif연보(捐補). 헬. 로기아G3048 G3056(대량 생산된 의미에서)에서 유래; 기부(寄附): - 수집(收集), 수확(收穫). 이 단어는 고린도전서 16장에서 딱 두 번 언급됨.

 

많은 사람들은 이 구절을 매주일 첫날 즉 일요일 마다 신자들이 모여서 예배를 드리고 그리고 여호와(야훼G2962 / H3068 AHEBYHWH)의 일, 목사의 월급 기타에 쓰기 위해 일정한 예배시간에 신자들이 작은 헌금봉투에 돈을 넣어 바치는 것으로 상상합니다. 그러나 과연 그러한가요? 자 이제 이 구절의 참 의미를 살펴봅시다.

 

1Co 16:1  Now1161 concerning4012 the3588 collection3048 for1519 the3588 saints,40 as5618 I have given order1299 to the3588 churches1577 of Galatia,1053 even2532 so3779 do4160 ye.5210


[개역]고전 16:1 성도를(theG3588saints,G40) 위하는( forG1519) 연보에(theG3588collectionG3048) 대하여는(concerningG4012) 내가(I have given orderG1299) 갈라디아( of Galatia,G1053) 교회들에게(to theG3588churchesG1577) 명한것(I have given orderG1299) 같이(asG5618) 너희도(ye.G5210) 그렇게(soG3779) 하라(doG4160)

 

[KJV]고전 16:1  이제(NowG1161) 성도들을 위한 모금에 관해서는 내가 갈라디아 교회들에게 명한 것같이 너희도 그렇게 행하라.


1Co 16:2  Upon the first2596, 3391 day of the week4521 let every one1538 of you5216 lay5087 by3844 him1438 in store,2343 as3748, 302 God hath prospered2137 him, that2443 there be1096 no3361 gatherings3048 when(3752) I come.2064


[개역]고전 16:2 주일(day of the weekG4521) 에(Upon the firstG2596,G3391) 너희(of youG5216) 각 사람이( let every oneG1538) 이를 얻은대로(God hath prosperedG2137) 저축하여(in store,G2343) 두어서(layG5087) 내가 갈(I come.G2064) 때에(when(G3752)) 연보를( gatheringsG3048) 하지( there beG1096) 않게(noG3361) 하라( there beG1096)

 

이 수집(연보 /모금)은 무엇을 말하며 그리고 누구를 위한 것입니까? 이는 목사 또는 복음을 위한 수집(收集)이 아닙니다. 이는 성도(聖徒)들을 위한 수집입니다. 기근으로 인하여 곤궁에 처한 예루살렘에 있는 가난한 성도들을 돕기 위한 것이었습니다. 그들에게 필요한 것은 돈이 아니라 생존을 위하여 필요한 양식(糧食)이었습니다.  바울이 다른 교회의 교우(敎友)들에게 이와 같은 지시를 한 것에 대하여 주목하십시오. 자 이제 로마 교우들에게 한 지시를 살펴봅시다.

 

롬 15:25 그러나G1161 이제는 내가 성도를G40 섬기는 일로G1247  예루살렘G2419가노니G4198 

  

롬 15:26 이는 마게도냐G3109 아가야G882  사람들이 예루살렘G2414 성도 G40 가난한 자들을G4434 위하여G1519 기쁘게G2106 얼마를G5100 동정G2842하였음이라G4160 

  

롬 15:27 저희가 기뻐서 하였거니와G2106 또한 저희는 그들에게 빚진 자니G3781 만일G1487 이방인들이G1484 그들의 신령한 것을G4152 나눠 가졌으면G2841 육신의 G4559으로 그들을 섬기는 것이G3008 마땅하니라G3784 

  

Rom 15:28  When therefore3767 I have performed2005 this,5124 and2532 have sealed4972 to them846 this5126 fruit,2590 I will come565 by1223 you5216 into1519 Spain.4681


롬 15:28  그러므로 내가 일을G3778 마치고G2005 열매를G2590 저희에게 확증한G4972 후에 너희에게를 지나 서바나G4681 가리라G565 

  

img7772_1.gif 열매. 헬. 칼포스(karpos / kar-pos' G2590), 열매(채취한 것처럼), 글자 그대로 또는 상징적으로: - 열매, 실과.


img7772_1.gif 확증 슾흐라기조(sphragizo / sfrag-id'-zo G4972), 보안 또는 보존을 위하여(도장 또는 개인의 각인[各人]을) 찍다 (글자 그대로 또는 상징적으로); 내포적으로는 비밀히 간직하다, 증명하다: -봉인(封印)하다, 인치다.


Total KJV Occurrences: 27        KJV 27번 언급됨   


sealed, 20 

 

롬_15:27-28 (2), 고후_1:22, 엡_1:13, 엡_4:30, 계_7:3-8 (15) 

 

[KJV]롬 15:28 그러므로 내가 이 일을 마치고 이 열매를 그들에게 확증(確證)한 후에 너희를 거쳐 스페인으로 가리라.


[KJV]고후 1:22 그 분은 또한 우리를 (印)치시고, 우리 마음 속에 성령의 보증을 주셨느니라.


[개역]계 7:3 가로되 우리가 우리 하나님의 종들의 이마에 (印)치기까지 땅이나 바다나 나무나 해(害)하지 말라 하더라.


[KJV]계 7:3 말하기를 "우리가 우리 하나님의 종들인 그들의 이마에 인장으로 표시할 때까지 땅이나 바다나 또는 나무들을 손상시키지 말라."고 하더라.


seal, 4 

 

요_3:33, 계_10:4, 계_20:3, 계_22:10 

 

[개역]요 3:33 그의 증거(證據)를 받는 이는 하나님을 참되시다 하여 (印)쳤느니라.

 

[KJV]요 3:33 그 분의 증거를 받은 사람은 하나님께서 참되시다는 것을 확증(確證)하느니라.


set, 2

요_3:33, 계_20:3 

 

sealing, 1

Mat_27:66 

           

[개역]마 27:66 저희가 파숫군과 함께 가서 돌을 인봉(印封)하고 무덤을 굳게 하니라.

 

[KJV]마 27:66 그러므로 그들이 가서 돌문을 봉인(封印)하고 경비병을 세워 무덤을 안전하게 지키게 하더라.

 

아하! 이해하셨습니까? 이는 돈이 아니었습니다. 이는 예루살렘의 가난한 성도들을 위한 열매 즉 농작의 수확물을 봉인(封印)한 선적물(船積物)이었습니다.

 

자 이제 고린도전서 16장으로 돌아갑시다. 바울은 예루살렘의 성도들을 위한 수집에 대하여 언급합니다. 각 사람이 안식일 하나[첫]를 통해서(매주일 첫날에) 무엇을 하라고 지시하였나요? 잘 보십시오! 돈을 헌금 궤에다 떨어뜨리라고 말했나요? 아닙니다! 성경은 “각자가 여호와(야훼G2962 / H3068 AHEBYHWH)께서 번성케 하신대로 따로 저축해 두라"고 언급합니다. 

 

두다(티데미 / tithemi  lay G5087)! 저축(데사우리조 / thesaurizo store G2343)하다 또는 쌓아두다! 각 사람이 쌓아 두어(저축하여) -- 즉 집에다! 교회에다 쌓아 두지 않고 - 각 사람 집에다 모아 둔 것입니다.

 

참조: [KJV]마 6:19 ○ 너희 자신을 위하여 땅에다 보물을 쌓아 두지(데사우리조 / thesaurizo store G2343) 말라. 거기는 좀이나 녹이 해치며, 또 거기는 도둑들이 뚫고 들어와서 도둑질하느니라.

 

왜 그랬나요? “내가 갈 때에 수집(연보를) 하지 않게 하라.” 이는 사람들이 과수원이나 밭에서 과일이나 곡식을 거두어 따로 쌓아 둔 것입니다. 이는 십일조나 동전을 헌금 궤에다 넣는 것이 아닙니다. 자! 이제 3절과 4절을 주목하십시오. 

 

1Co 16:3  And1161 when3752 I come,3854 whomsoever3739, 1437 ye shall approve1381 by1223 your letters,1992 them5128 will I send3992 to bring667 your5216 liberality5485 unto1519 Jerusalem.2419


[개역]고전 16:3 내가 이를 때에 너희의 인정한G1381 사람에게 편지를 주어G1992 너희의 은혜를G5485 예루살렘G2419으로 가지고G667 가게 하리니G3992


[KJV]고전 16:3 그리고 내가 도착하면 너희가 서신을 통하여 승인한 사람 편에다 너희의 위로금(=호의 /  은혜 / 은총 / 선물 등을 의미)을G5485 예루살렘에 보내리라.


고전 16:4 만일, 나도 가는 것이 적합하면 그들이(한 사람이 아닌 그들을 주목) 나와 함께 가리라.

 

명백하게 쌓아둔 수집물을 예루살렘으로 운반하는데 몇 사람을 필요로 하였습니다. 만약 그것이 십일조나 목사를 위한 헌금 이었다면, 바울이 홀로 가도 아무 문제가 없었을 것입니다. 본문에서 말하는 주일 첫은 안식일 후를 말합니다. 즉 일요일에 사람들이 과수원이나 밭에 나가서 과일이나 곡식을 거두어 따로 쌓아 두는 일을 하였습니다. 이는 첫 노동의 날이었습니다. 즉 일요일(주일)은 성일이 아니며 노동의 날입니다. 


펌출처: http://www.whoisyah.com/newfile110.htm

 

messenger

신약시대에는 십일조가 폐하여졌고,각자 연보로 교회 공동체 앞에 내어 놓는 것이 바르다는 메시지 입니다. 그렇다면, 바울 시대 당시에 사도 발 앞에다 재산을 내어 놓은 것은 무엇일까요? 교회 앞에, 돈 보다는 땅을 내어 놓은 것으로 보이는데, 공동 경작 목적으로 보여집니다(성경에 자세한 언급 없음) 아나니아와 삽비라가 땅을 가지고 전체 기부로 속이려다 두사람이 당일 즉사한 사례를 보면 알 수가 있지요. 특별히, 안식후 첫날이 토요일이냐? 일요일이냐? 문제가 있지만, 로마 가톨릭의 계명 변개는 역사적 사실입니다. 이제와서, 개신교가 일요일을 토요일로 바꾸는 것은 주5일 근무제-일요일 휴무등을 고려하면 불가능할 것입니다.   


  목사 중심 교회와 기독교 무당들 - 당당뉴스  

      <- 위 한글 제목을 클릭하세요!!


[주기] 성경에 근거하여, 개신교 기독교회를 영분별하는 차원에서 회개와 개혁을 촉구하는 메시지로 받으면 될 것입니다. 결단코, 영혼을 잘못되게 하려는 사단적인 비판이 아니라 영분별-회개-천국 입성에 대한 성령의 음성입니다. 현재, 미자립교회가  80%나 되는 점을 감안해 본다면, 얼마나 어려운 위치에서 사명 감당하는 사역자가 많다는 것을 간과해서는 안됩니다. 일부 교회 장로-집사-목사 영성에 해당되는 문제점들 입니다.

 

-------------------------------------------------------------------------------------------------------------

 

바리새인들이 하나님의 나라가 어느 때에 임하나이까 묻거늘, 예수께서 대답하여 가라사대, 하나님의 나라는 볼 수 있게 임하는 것이 아니요, 또 여기 있다 저기 있다고도 못하리니, 하나님의 나라는 너희 안에 있느니라.” (누가복음 17:20-21)

 

------------------------------------------------------------------------------------------------------------------

이때부터 예수께서 비로소 전파하여 가라사대, 회개하라 천국이 가까왔느니라 하시더라.” (마태복음 4:17)











 

 






 

  십일조는 10%인가? 아니면,23.3%인가?  

     <- 위 한글제목을 클릭하세요!!

 이미지 부분에 대하여,

게시글 원칙에 맞지 않으면 삭제하겠습니다!!


* 동영상이 보이지 않을 때(동영상 1:22 이미지 부분 캡처 출처) : https://youtu.be/DD0GfeYob_A


 



들을귀                                        

촛불집회 참석한 그리스도인의 기도                              

                             vs

태극기 집회 참석한 그리스도인의 기도
----------------------------------------------------------------------------------------------------------------
[성경에 근거한 하나님의 기도 답변은 이렇습니다]


네 골방에서 회개 기도하며 천국지옥 믿어라. 재림할 때까지 열심히 전도하여라. 너희는 좌로나 우로나 치우치지 말라. 나는 외모를 보지 않고 속중심을 살피느니라.

-> 기독교회 각자가 먼저 예수의 나라와 의를 구하고 하나님 아버지만 바라본다면, 나라와 민족이 잘못되지 않게 해 주신다는 의미입니다. 나라와 민족을 위한 기도 외에 교회에서 정치강론을 하거나, 좌우 어느 집회에도 휩쓸리지 않기를 바라고 계십니다.

들을귀                                        

유대 종교지도자들이 로마와 결탁해 예수를 십자가에 매달아 죽였습니다. 로마 식민지 하에서도 초대 기독교회 그리스도인들은 정치와 신앙을 분리했지요. 오로지, 예수 회개 천국복음 전하다가 핍박과 순교를 당하지 않았습니까? 왜, 목사가 설교 시간에 정치강론을 합니까? 그리스도인들을 정치집회에 동원합니까? 일본 식민지 하에서 조선기독교회 교단들이 연대하여 일본 군국주의에 아부하며 협조하다가 신사참배의 죄악을 저질렀습니다. 일부 장로-집사-목사만 신사참배 거부하다가 감옥에 갇혔지요. 회중이 싫어한다고 천국지옥 설교를 회피하거나 천국지옥 전도를 회피하는 장로-집사-목사는 명령을  망각하고 오로지 계급과 출세 위주의 직업으로 일하는 삯군 목사요, 명예와 계급만 중히 여기는 장로-집사에 불과합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