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외 개신교 기독교회 장로-집사-목사 사역자 여러분! 신약교회 성령시대인 지금, 성경에 근거하여 십일조와 헌금 신앙관을 아래 사항중 어떤 입장을 지키며 행하십니까? 맨 하단에, 신약 성경에 부합하는 답변의 번호를 표기했습니다. 개혁을 부탁드립니다!


1. 구약 십일조가 돈은 아니지만, 십일조 정신을 계승하여 돈으로 십일조를 드린다.

 

2. 구약의 율법 십일조는 할 수없으나, 아브라함과 야곱의 십일조 정신으로 드린다.

 

3. 구약 십일조와 헌물은 예수 대속으로 폐하였으니, 각자 연보만 교회에 기부한다.

 

4. 예수님께서 바리새인에게 십일조 하라고 하셨으니, 내 소득의 십일조를 드린다.

 

5. 기독교회에서 헌금은 자율적이지만, 교회 운영을 위해서 십일조를 드려야 한다.

 

6. 기독교회에서 십일조와 헌금은 반드시 드려야 하고, 각자 연보는 별도 기부 한다.

 

7. 기독교회에서 헌금과 각자 연보는 자율적이지만, 십일조 만큼은 꼭 드려야 한다.


120.png121.png122.png123.png124.png125.png126.png127.png128.png129.png120.png121.png122.png123.png124.png125.png126.png127.png128.png129.png120.png121.png

펌출처: http://blog.daum.net/changho3927/31

십일조로 착취하는 목회자 도적들
“사람이 하나님의 것을 도둑질 하려느냐? 이미 너희는 나의 것을 도둑질 하였도다. 그러나 너희는 말하기를, 우리가 어떻게 주님의 것을 도둑질 하였나이까? 하나니, 곧 십일조들과 헌물들이니라.” (말라기 3:8)


오늘날 대부분 목회자들은 십일조 헌금을 제대로 내지 않는 신도들을 도둑들이라고 책망한다. 그들은 본문의 ‘사람’이나 ‘너희’라는 단어의 적용이나 히브리어 원문을 잘 모르는 소치의 결과다. 또한, 히브리어 맛소라 원문에는 ‘나의 것’ 이란 단어와 ‘주님의 것’ 이란 단어가 없다.

 

십일조는 고대 세금의 룰(rule)인데 이집트, 갈대아우르의 세율이었고 심지어 그리스에서는 아테네 여신에게도 십분의 일을 바쳤다. 아브라함은 멜기세댁에게 전리품의 십분의 일을 드렸는데 약탈 당했던 재산의 십분의 일이었다. 본래 전리품은 하나님께 십분의 일이 아니라 오백분의 일, 오십분의 일(민수기 31:25-30)이였다.


또한, 전리품은 성경의 십일조가 아니다. 아브라함은 멜기세댁에게 십일조를 바쳤지만, 야곱은 자기의 모든 것 중에서 하나님께 십분의 일을 드리겠다고 서원했다. 그러나 당시에는 성전도 제사장도 없어서 별 의미 없는 서원이었다.


율법의 십일조는 성막이 세워지고 유월절에 살아 남은 장자 대신해서 하나님께 드려진 레위인을 위한 생활 양식이었다. (민수기 3:11-13) 가나안 땅에서 레위인들은 농사 지을 상속을 분배 받지 못했는데, 24시간 성전에서 제사장들을 도와 섬기는 일이 직업이었기 때문이다.

 

열두지파들은 매일 죄를 범했고, 죄를 깨달은 즉시 희생물을 죽여 그 피를 제사장들에게 드리면 제사장들은 성전이나 제단에 피를 뿌려 죄를 속하는 일만 했기 때문이다. “보라, 내가 레위의 자손에게 상속으로서 그들의 섬기는 일 곧 회중의 성막에서 섬기는 일을 위해 이스라엘에 있는 모든 십일조를 주었은즉..”(민수기 18:21) 그리고, 또한 고아들이나 집 없는 나그네와 과부들을 위해 십일조가 정해졌다.(신명기 26:12)

 

백성들이 드리는 십일조는 결코 현금이 아니었고, 레위인들이 먹고 살아야 할 토지소산의 식량과 가축이었다. “땅의 모든 십분의 일은 곧 그 땅의 씨앗이든지 나무의 열매이든지 '주의 것=레위지파 식량' 이니..”(레위기 27:30)


그래서, 말라기에도 “너희는 모든 십일조를 창고에 들여와 내 집(聖殿)에서 양식이 있게 하고..”(말라기 3:10) 멀리 있는 백성들은 현물을 팔아서 돈으로 가져온 후에 다시 현물을 사서 십일조로 냈다.(신명기 14:24-27) 현금은 성전세(聖殿稅) 뿐 이었고, 과부의 두렙돈 역시 성전세였지..레위인들의 식량인 농산물이나 가축의 십일조는 아니었다(역대하 24:4-5, 누가복음 21:1-4)


바벨론 포로 시대에는 희생 예물도, 성전도, 제사장도, 레위인도 없었기에 십일조도 없었다가 포로 회복 이후에 십일조 재교육을 시켰으나 잘 내지 않아서 제사장과 레위인들이 배고픔을 견디지 못하여 밭으로 도망한 적이 있다. “레위 사람들과...각자 자기 밭으로 도망하였기 때문이라.”(느헤미야 13:10)

 

그 이유는, 느헤미야가 바벨론에 잠시 다녀온 사이에 제사장 엘리아십이 박해자 암몬 사람 도비야를 위해 창고를 마련하고 십일조 농산물들을 훔쳤으며(느헤미야 4:3, 7및 13:4) 그때부터 백성들은 눈이 멀고 절름발이나 병든 희생물들을 가져 왔고, 제사장들은 타락하여 그것을 희생물로 드리는 죄로 책망을 받았으며, 중간에 레위인들에게 줄 것을 주지 않아 말라기 선지자의 책망을 받은 것이다.


그 부정 행위는 말라기가 돌아오기 약 40년 전부터 였고 레위인들의 식량인 십일조를 도둑질한 자들은 백성들이 아니라, 제사장들이였다. 말라기 3장의 십일조도 느헤미야시대 부터 잘 훈련이 안되어 십일조를 내지 않거나 중간에 착취한 레위인들의 율법 하에서 필요했으나, 예수님께서 “다 이루었다!“(요한복음 19:30) 하신 이후 부터 율법은 이루어졌고 성전도, 희생물도, 레위인도, 십일조도 폐해져서 종결되었다.


님께서 위선자 바리새인들에게 박하, 회향, 근채의 십일조는 드리되 율법의 공의, 믿음, 긍휼은 버렸으니 ’이것들‘도 행하고 ’저것들‘도 버리지 말라고 하신 말씀(마태복음 23:23)은 성전 휘장이 찢겨지기 전의 율법 하에서 필요했던 말씀인데, 목사들이 말라기와 이 구절을 인용해서 십일조를 착취하는 짓은 도둑질이 아니고 무엇이겠는가?

 

예수 대속의 십자가로 폐해진 구약의 율법인 십일조에 대하여, 목회자들은 회개하라!


 

  신약 성경에 부합하는 답변은 3번 입니다.


개신교, 초교파, 십일조와 헌물은 폐지되었다, 신약교회는 각자 연보 한가지 뿐이다














 이단 분별의 근거  


 17분 동영상이 안보일 때

: https://youtu.be/b6UCcYRmxQs



by 와보라


이단 분별의 기준과 근거에 대한 성경적인 설교에 감사드립니다. 다만, 삼위일체에 대한 반론 설교 시청을 부탁드립니다. 지금도 예수를 부인하는 유대교는 유일신 하나님(한분 하나님)을 믿습니다. 구약시대가 신약시대로 바뀐 것은 예수가 대속 제물이 되어 완전한 속죄를 이루신 시점 부터 입니다. 그렇다면, 유일신 하나님이 삼위일체 하나님으로 바뀌었는지의 여부를 영분별해야 할 것입니다. 신약교회가 되면서, 한분 하나님이 세분 하나님으로 바뀌었는가? 아니면, 성령이신 예수 그리스도 하나님 아버지 한분으로 변동이 없는가?를 아래 영상 설교 시청을 통해서 확인해 보시길 바랍니다. 아멘.


 사람을 신격화한 이교도의 삼위일체 영상  

 (바벨론, 가나안, 팔레스타인, 이집트, 고대종교, 불교,  

 힌두교, 그리스 신화) 


 13분 동영상이 안보일 때

: https://youtu.be/LsxtJuGvc5Q

by 임마뉴엘 오순절교회


개신교, 초교파, 구약시대는 한분 하나님이다, 신약시대에 세분 하나님이 되셨는가?, 천국지옥

• “방언으로 말하는 것”이 성경적인가?

• 성경이 말하는 “방언”은 정확히 무엇인가?

• “방언”이 정말로 하늘의 언어인가?

• 에클레시아에게 방언의 은사가 주어진 목적은?


 16분 동영상이 안보일 때

: https://youtu.be/i5Z8F6DQpSk

by WLC Korean Videos


[노우호 목사]


모든 거짓의 뿌리는 거짓 방언을 통역하여 설교하고 예언하는데서 출발했습니다. 만약, 성령님께서 한국 기독교인들에게 하실 말씀이 있다면 처음부터 한국말로 하시게 했을 것입니다. 한국 사람이 한국 사람에게 말할 때에 이상한 소리를 하고 그 이상한 소리를 괴상하게 통역하여 예언한다는 것은 이미 잘못된 것입니다. 마귀라면 그렇게 하여 성도들을 속이려 하겠지만, 성령님께서는 결코 그런 일을 하시지 않을 것입니다.


[Messenger]


어느 사역자의 방언 비평을 접했을 때, 그분이 방언 받지 못해서.. 라는 제 생각만 가지고 무시했습니다. 참고로, 저는 1992년에 방언을 받았고 2018년 2월초에 거짓방언 받았다는 것을 깨달아 알기 까지는, 칼을 수시로 갈듯이 방언을 사용했습니다. 잘 알지 못하고 받은 가짜방언을 폐하겠습니다! 라고 예수님께 회개하고 이 사실을 전파하는 것입니다. 한국교회 방언 운동을 위한 비성경적인 가르침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1. 하나님께만 영으로 비밀기도하는 것이 방언이다.
2. 전도할 때에 하나님을 드러내는 표적이 방언이다.
3. 방언은 알아듣지 못하며, 방언 통역이 필요하다. 
4. 방언은 성령충만한 은사이며, 성령세례 증거다.
5. 성령의 랄랄라 방언과 마귀의 섬뜩한 방언은 다르다.

 12분 동영상이 안보일 때

: https://youtu.be/R2wI9Fbglx

by 제네바 개혁교회 (서울시 송파구 문정동 소재)


직분이란 부분은 복음 사역에서 중요한 역할을 차지합니다. 그러나 한국교회는 불필요한 직분이 많습니다. 서리집사, 권사, 권찰… 그 외에도 간사 등 지나친 직분은 현재 남용되어 부작용을 낳고 있진 않은지 돌아봅니다.

▶오인용 목사에게 신앙상담 : puritan9000@naver.com

▶ H.P : 010-7502-6201

▶칼럼 및 자료들은 카페를 이용하세요.
http://cafe.naver.com/thebandofpuritans


개신교, 초교파, 직분 보다는..그리스도께 매인 착하고 충성된 종이 됩시다, 천국지옥




 핵심적인 질문들 

 

by https://www.gotquestions.org/Korean/


아래의 각 한글 제목을 클릭하세요!!


하나님은 정말 존재하는가? 하나님의 존재를 증명하는 방법이 있는가?

하나님은 정말 존재하는가? 하나님의 존재를 확신하는 방법이 있는가?

예수님은 하나님인가? 예수님은 자신이 하나님이라고 주장한 적이 있는가?

예수 그리스도는 누구인가? 예수님이 구세주, 구원자이신가?

그리스도의 신성은 성경적인가?

기독교는 무엇이며 기독교인들은 무엇을 믿는가? 기독교 신앙의 본질은 무엇인가?

하나님의 속성은 무엇인가?

성경은 정말 하나님의 말씀인가? 어떻게 성경이 진실이고 하나님으로부터 나왔다고 신뢰할 수 있는가?

인생의 의미는 무엇인가? 내 삶의 의미를 찾는 방법은 무엇인가? 인생은 허무한 것인가?

기독교인들은 구약의 율법을 지켜야 하는가?

구원은 오직 믿음에 의해서인가, 아니면 믿음에 행위를 더해야 하는가?

성령님은 누구신가? 성령님은 하나님이신가?

내 삶을 향한 하나님의 뜻을 알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인가?

신앙인으로서 죄를 극복하는 방법은 무엇인가?

내가 자살하지 말아야 할 이유는 무엇인가? 인생을 망쳤는데… 당장 끝내지 말아야 할 이유가 있는가?

 

개신교, 초교파, 한번 받은 구원이 영원해도 성경에서 벗어나면 버림 받는다

         

[원서평자께 드리는 양해 말씀입니다. 그리스도인 네티즌들이 보기 쉽도록 글자 크기를 14호로 선택했고, 오타를 교정했으며, 좀 더 부드럽게 문맥 흐름이 느껴지도록 원본의 틀을 보존하면서 보완습니다. 만약, 원서평자께서 게시글 원칙에 맞지 않다고 생각하시면 언제라도 삭제하겠습니다. 십일조에 대한 성경적인 서평에 감사 드립니다.]

 


 모든 소득이 십일조의 대상이 아니다!    2017 서평   


[도서] 십일조는 없다

조성기 저
평단문화사 | 2012년 02월

내용     편집/구성     구매하기

모든 교회는 예수보다 물질 탐해서는 안되며,

그리스도인 각자가 복을 받기 위한 수단으로

모든 소득의 돈 십일조를 생각해서는 안된다.

2017-10-30


저자는 책에서 시종일관 한국 교회가 강조하는 '십일조'의 개념이 변질되었다고 강조한다. 많은 목회자와 성경 학자들도 동의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십일조가 계속해서 강조되는 이유를 다음과 같이 밝히고 있다.

 

교회가 확장되고 커지면서 교회에 많은 재정이 필요하게 되었고, 그 재정을 충당할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방편으로 구약시대 십일조를 끌어온 것이다. 교회는 성전이요, 목회자는 제사장이요 하는 식으로 <성경>을 알레고리 비유 해석법으로 풀어서 말이다.

 

원래 구약에서 말하는 십일조는 토지 소산의 10분의 1이었다. 오늘날 처럼 화폐 소득을 중심으로 한 '모든' 소득이 십일조의 대상이 아니었다. 나눔의 양식이었던 십일조가 시간이 지날수록 제사장들과 대제사장들의 치부 수단으로 전락되었고, 결국 오늘날 교회가 맘몬을 숭배하는 모양새로 세상의 지탄을 받게 된 게, 십일조의 잘못된 적용에서 비롯되었다고 한다.

 

십일조의 대상에 화폐를 끌어들인 사람은 바리새인이었다고 한다. 그들은 십일조를 잘 내면 악한 작가 지옥에서 받는 열두 달 동안의 형벌에서 면제 된다고 강조했다. 중세 시대 면죄부를 떠올리게 한다. 십일조 하면 이렇다 하면서 <말라기>3장 10절 구절을 예로 든다.


그런데, 그 구절은 일반 백성들에게 들으라고 한 것이 아니라 불행히도 백성이 바친 십일조를 빼돌리는 제사장들에게 경고한 구절이라는 점이다. 백성들이 토지 소산과 가축의 10분의 1을 바친 것을 빼돌린 욕심 많은 제사장에게 한 말씀이라는 점이다.

 

바리새인 처럼 철저하게 소득의 십일조를 계산하지 못했을 경우에 정죄하며 죄책감을 심어주는 십일조라면 결코 성경적일 수가 없다. 십일조의 정신은 이웃 사랑임을 부인할 수 없다. 저자는 현대 교회에서 가장 많은 헌금을 차지하는 것이 십일조이며, 돈 때문에 교회의 여러가지 분란이 생기는 예를 들고 있다. 그래서 교회를 개혁하자는 취지에서 몇 가지 대안을 들고 있는데 다음과 같다.

 

헌금이라는 용어 대신에, 서로 돕고 나눈다는 연보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신자들은 신앙양심에 따라 각자 기준을 정해서 드린다. 모두 무기명으로 드린다. 무건물, 자비량 목회를 원칙으로 한다.

 

갑자기, 교회가  헌금 시스템을 바꾸기는 쉽지 않다. 하지만, '십일조의 정신' 만큼은 제대로 가르쳐야 한다. 하나님은 돈이 없어 구걸하는 신이 아니다. 교회가 돈 장사 하려고 그리스도인을 모으는 곳도 아니다. 정의와 공의의 하나님을 예배하는 곳이다. 교회는 예수보다 물질을 탐해서는 안 되며, 그리스도인이 복 받기 위한 수단으로 십일조를 생각해서는 안 된다.

 

저자는 아마도 이 책을 시중에 내 놓고 기존 교회와 교단으로부터 따가운 눈총을 받았을 것으로 짐작된다. 성경에서 말하는 헌금의 정신을 파헤치려는 용기의 결과물인 이 책을 헌금 때문에 상처받은 장로-집사들과 올바른 교회 운영을 위해 고민하는 목사들에게 일독을 권한다. 


원출처: http://blog.yes24.com/document/9953070 





    


 '전통'과 '적폐' 사이에 선 십일조  

     <- 위 한글 제목을 클릭하세요!!

 3분 동영상이 안보일 때

: https://youtu.be/PoFli3-a8Ao


by 강목사(영광교회)

+ Recent posts